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우증권 M&A, 인수 후보군 준비 상황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산은, 대우증권 매각 본입찰 21일
한투·미래에셋·KB지주 실탄 확보中
한투, 5000억원 주주 배정 유상증자 검토
유증 끝낸 미래에셋, 9500억원 확보
KB금융, 2000억원 배당금·회사채 발행 등 자금 충전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권해영 기자] KDB대우증권 인수합병(M&A)에 뛰어든 인수 후보들이 사전 준비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KDB대우증권 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은 오는 21일 본입찰을 진행하고 연내 우선협상대상자 선정할 계획이다.

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은 KDB대우증권 인수 자금 마련을 위해 5000억원 상당의 주주 배정 유상증자를 검토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한국투자금융지주가 100% 지분을 들고 있어 사실상 모회사가 자금을 전액 지원하는 셈이다. 한국금융지주는 유상증자 참여 외에도 자금을 대여하는 방안을 함께 고려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회사채 발행도 검토하는 단계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10월 유상증자를 완료해 약 9500억원을 확보했다. 자기자본 2조5000억원도 든든한 밑천이다. 이중 현금성 자산은 5000억원 수준이다. 나머지 2조원 중 상당액을 현금화할 계획이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KDB대우증권 인수 후 인수금융을 통해 7000억원가량을 추가로 차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며 "아직 확정안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KB금융지주는 자회사 국민은행에서 배당금 2000억원 상당을 받고 회사채 발행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인수 후 KDB대우증권 주식을 담보로 국민은행으로부터 인수금융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대우증권 M&A, 인수 후보군 준비 상황은
AD


KDB대우증권 M&A가 성공적으로 끝날 경우 앞으로 조직 운영에 대한 밑그림은 제각각이다. 우선 세 곳 모두 KDB대우증권을 '따로 또 같이' 투 트랙으로 운영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조직으로 합쳐야 하는데 이 대목에서 풀어야 할 방정식이 엇갈린다. 인수와 피인수(KDB대우증권) 주체가 모두 상장사인 미래에셋증권과 달리 KB금융지주의 자회사인 KB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비상장사이기 때문이다.


상장사와 비상장사 합병 시 존속·비존속 법인 선택 문제를 비롯해 주주 협의 등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인수에 성공하면 두 개의 증권사를 따로 끌고 갈 것"이라며 "인수 후 통합 작업에 대한 구상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이후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KDB대우증권을 인수할 경우 당분간 2개 조직으로 운영할 예정"이라며 "인수 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통합 작업을 하는 데만 최소 6개월 이상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번 인수전에 대해 시장에서 매긴 KDB대우증권의 몸값은 2조원 안팎이다. 인수 후보군의 자금 여력은 탄탄한 편이다. 그러나 대다수 인수 후보군이 적정가 이상의 프리미엄을 붙여서는 배팅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라서 과도한 가격 경쟁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