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여야 오늘 재회동…다음주 국회 정상화 가능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여야 오늘 재회동…다음주 국회 정상화 가능성↑
AD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국정 교과서 논란으로 파행을 빚은 국회가 다음 주 정상 가동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여야 원내지도부는 5일과 6일 잇따라 회동을 열고 타협점을 찾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야당 내부에서도 다음 주 초부터 예산안 심사 등 원내 활동이 재개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6일 민생현안대책회의를 열고 "국회 정상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오늘 원내수석부대표 회동이 결실을 맺어서 이번 주 내로 양당 원내대표 회동으로 이어져 국회 정상화의 물꼬가 터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원 원내대표는 전날 정의화 국회의장 주재로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와 회동을 갖고 국회 정상화를 위한 현안들을 논의했다. 양당은 합의점에 도달하진 못했지만 정상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국회 예산결산특위가 내년도 예산안 심사를 여당 단독으로 진행한 만큼 파행 장기화에 대한 야당의 부담이 커졌다.

야당 핵심 관계자는 "예산안 등 현안이 많아 이를 도외시할 수 없어서 다음 주부터는 국회가 정상화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야당은 전날 의원총회를 열고 원내 활동과 장외투쟁을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을 진행하자는 데 뜻을 모으기도 했다.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전날에 이어 6일 오전 회동을 통해 의제를 사전 조율한 후 원내대표간 회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춘석 새정치연합 원내수석은 "오늘 회담의 결과와 상관없이 (국회 의사 일정에) 들어갈 건지 말건지 결정하겠다. 여기서 성과물이 나왔다고 해서 들어가고 안 나왔다고 안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회동 결과와 무관하게 야당 자체적으로 판단해 국회 복귀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뜻이다.


양당은 내년도 예산안 심사와 무쟁점 법안 처리, 내년 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획정 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당초 예정된 해양수산부ㆍ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일정에 대한 합의도 필요하다. 새누리당은 노동개혁 5대법안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경제활성화법안 처리 등을 지속적으로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다음 주 여야 갈등의 새로운 변수로 '4대강'이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당정은 가뭄 해소를 위해 4대강 사업으로 확보한 용수를 활용하는 사업을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야당은 사업의 실효성과 예산 규모 등을 문제 삼을 것으로 보인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