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韓·佛 정상, 첨단산업·신기술 교류 구체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한국과 프랑스가 첨단산업 및 신기술 분야에서 기업 간 기술 교류 및 협력을 추진한다. 정치·안보 분야에서도 고위급 대화채널을 활성화하는 등 전략적인 협력을 강화한다.


박근혜 대통령과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4일 청와대에서 가진 정상회담에서 열한 개 분야의 양국 간 협력방안을 담은 '21세기 포괄적 동반자 관계 강화를 위한 행동계획'을 채택했다. 또 창업 기업교류와 우주분야, 학력·학위 상호인정, 문화예술협력, 교통 분야, 관광 분야 등에 관한 여섯 건의 양해각서(MOU)도 맺었다.

양국이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첨단 분야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포함한 생명·보건과학, 혁신적인 교통수단, 나노기술, 신소재, 제약, 실버 경제, 정보통신기술 등이다. 내년 상반기에 제6차 한불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마련한다. 이달 말 파리에서 열리는 한불 신산업기술협력포럼에서도 유망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재원 조달 방안을 확정해 내년부터 본격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인공위성의 공동연구 등 항공·우주산업 분야에서도 양국 관련 기관 간의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할 방침.


행동계획에는 양국의 창업 지원 사업을 연계하는 방안도 담겼다. 창업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프랑스의 창업 기술지원 센터인 '프렌치테크 허브'를 서울에 개설한다. 또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양국의 직업계 고교, 대학 및 기업들과 함께 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기로 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프랑스의 요리, 명품, 호텔 등의 분야와 한국의 ICT, 디지털 콘텐츠 분야 등에서 청년 직업훈련 교류도 강화할 계획이다.

두 정상은 고등교육 학력 및 학위를 상호 인정해 유학생 교류를 촉진하는 데도 합의했다. 프랑스는 2017년부터 수능시험에서 제2외국어 선택과목에 한국어를 포함시킨다.


두 정상은 디자인, 의상, 건축, 영화, 음악 등 문화예술 분야에서 공동제작도 유도한다. 또 관광객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모색하기로 뜻을 모았다. 더불어 외교 및 국방 분야에서 고위급 협의회를 활성화해 양자관계와 지역 및 국제적 현안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공동기자회견에서 "국민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여러 혜택을 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한국과 프랑스의 젊은이들이 상대국에 진출 및 진학할 수 있는 기회를 실질적으로 확대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양국은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의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랑드 대통령은 "한국과의 기술적인 협력은 저희들에게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면서 "한반도의 비핵화와 안정, 평화를 지지한다"고 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