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메르스 3년만에 변이…"백신효과 낮아"(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메르스 치료물질 개발 착수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올해 초 국내에서 유행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바이러스는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견된 메르스 바이러스에서 다수의 변이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2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메르스와 에볼라 연구현황 및 국내 감염병 대응전략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다만 국내에서 유행한 메르스 바이러스는 올해 사우디에서 돌고 있는 메르스 바이러스와는 동일한 유형이라는 설명이다.


연구소 호흡기바이러스연구실 그룹장인 민지영 박사는 이날 "메르스는 RND 바이러스와 DNA 바이러스보다 변이율이 높다"면서 "처음 중동에서 발견된 이후 3년 이상 다수의 유전자 변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민 박사에 따르면 올해 유행한 메르스 바이러스는 2012년과 비교해 유전자 염기서열 3만개 가운데 43개 아미노산이 변한 것이다. 이는 변이가 빈번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비슷한 수준이다.


민 박사는 "다수의 변이가 있는 점을 미뤄 백신 개발을 통해 메르스 대응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면서 "치료물질 개발이 백신을 이용한 메르스 대응 전략을 보완해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최근 질병관리본부에서 분리한 메르스 바이러스를 이용해 숙주세포의 진입과 복제, 방출 기작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저분자 메르스 치료물질 개발에 착수했다"면서 "인플루엔자처럼 유전자가 변이가 많으면 백신이 개발되도 급작스러운 유행에서도 백신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치료제 개발 연구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자리에선 한국파스퇴르연구소의 간염연구실 그룹장인 마크 윈디쉬 박사가 최근 중국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가 발견된 점을 소개하며 "에볼라가 한반도로 유입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에볼라 바이러스 숙주인 과일 박쥐 서식지역이 지구 온난화로 북상하고 있고 세계화에 따른 국제적 교류 증가는 신종 감염병의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