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철강업계, 학계와 공동으로 정보 교류의 場…'제1회 스틸코리아' 개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국내 철강업계 발전방향을 토론하기 위해 산·학·연이 한자리에 모였다.


29일 한국철강협회는 대한금속재료학회와 함께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제1회 스틸코리아 2015'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철강업계, 학계, 철강엔지니어, 연구자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올해 처음 개최하는 '스틸코리아 2015' 행사에는 국내 철강업계가 세계적인 공급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철강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기 위해 국내 철강관련 산·학·연·관이 한 자리에 모였다는 데에 의미가 깊다.


권오준 한국철강협회장은 "최근 우리 철강업계는 중국발 글로벌 공급과잉과 저가물량 공세에 끼여 경영의 어려움이 날로 깊어가고 있다"며 "이같은 상황에서 국내 철강업계는 기술 중심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며 수요자가 원하는 새로운 성능의 강재를 적극 개발하고, 이를 관련산업에 널리 적용시켜 진정한 의미의 수출 창출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우종수 대한금속재료학회장은 "국내 철강업계는 글로벌 경쟁 환경 속에서 제품의 차별화, 핵심기술의 개발 및 보유를 통한 비교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공동으로 대응해야 하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산·학·연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주세돈 포스코 상무는 "철강업계가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분야에서 경량화에 대한 요구에 대응해 고강도강을 개발해야 하며, 건축·교량분야에서는 곡선이 포함된 철강재 개발을, 조선분야에서는 선적 용량의 증가에 따라 고강도·고인성강의 개발이 요구되며, 가전분야에서는 타소재와 경쟁과 공생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임종대 현대기아자동차 상무는 기조강연에서 "자동차 차체의 재료로 가장 널리 사용하는 철강재료는 최근 들어 연비향상과 친환경적 요구 증가로 입지가 점점 위협받고 있다"며 "경량 소재에 대응하기 위해 철강업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오후에는 미래형 자동차 개발동향과 철강소재, 안전한 건축 구조물과 철강소재, 에너지 플랜트와 철강소재, 철강의 최신 연속주조 기술동향 등 4개의 일반 섹션에서 총 33개의 철강관련 주제들이 언급됐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철강협회 송재빈 상근 부회장을 비롯해 김종철 산업통상자원부 철강화학과장, 박성호 포스코 부사장, 이계영 현대제철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학계에서는 우종수 대한금속재료학회장, 나형용 서울대 명예교수, 조현기 경북대 명예교수, 강춘식 서울대 명예교수, 남승우 KAIST 명예교수, 유연철 인하대 교수, 권숙인 고려대 교수, 민동준 연세대 교수, 장재일 한양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