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野, 선거구획정 기준 당내 교통정리도 '첩첩산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농어촌 의원 집단반발…"비례대표 의석 줄여야"
야당 일각 "농어촌 배려 안 하면 선거에서 불리"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 작업에 착수한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농어촌 지역 의석수가 줄더라도 비례대표를 축소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인구하한 미달로 통폐합 위기에 놓인 농어촌 지역 의원들이 집단 반발에 나서고 있다.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도 계파·지역간 이해관계가 엇갈려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여야 농어촌 지역 의원들로 구성된 '농어촌주권지키기모임'은 21일 회동을 갖고 내년 총선 지역구 의석수를 244~249석 범위 내에서 정하겠다는 획정위 안을 수용할 수 없다고 의견을 모았다. 지역구 감소가 불가피한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에 각각 1석 이상의 특별선거구 제정을 정개특위에 촉구했다.


특히 새정치연합 소속 의원들은 당의 공식 입장과 배치되는 '비례대표 축소' 의견을 건의했다. 이윤석 새정치연합 의원(전남 무안·신안)은 "농어촌 지역에 대한 대책 없이 지역구 의석수를 유지하기로 결정한 획정위 결정에 유감을 표명한다"며 "철회해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또 비례대표 축소 금지가 당론이 아니라며 당 지도부의 주장을 반박했다.


새정치연합 내에선 당 지도부의 이 같은 주장이 '정치 발전'이라는 명분보다 비례대표 추천권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또 당내 주류가 도회지에 지역구를 두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야당 소속 한 농어촌 지역 의원은 "지도부의 지역구가 농어촌 지역에 있다면 상황이 달라졌을 것"이라며 "염불보다 잿밥(비례대표 추천권)에 더 관심이 많은 거 아니냐"고 꼬집었다.


야당 일각에선 농어촌 지역구 감소를 방치하는 게 내년 총선 뿐 아니라 대선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원내 관계자는 "이미 우리 당이 농어촌 지역을 배려하지 않는 것처럼 비춰지고 있다"면서 "수도권 의석수가 늘어난다고 우리 당에 유리하다고 장담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지방선거와 대선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