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비 없는 날이 이어지면서 내년 농사에 비상이 걸렸다. 따가운 가을햇살에 곡식과 과일이 영그는 사이 저수율은 50% 밑으로 뚝 떨어졌다. 다음달까지 강수량은 평년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보되고 있어 내년 농업용수 부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농정당국이 인근 강물을 끌어들이는 등 긴급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지하댐 건설 확대 등 안정적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중장기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9월17일 기준 전국 저수율은 44%로 평년(74%)에 비해 30%포인트 밑돌았다. 지난해 저수율 73%에 비해서도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평년 저수율의 절반 이하 수준인 저수지는 전국에 275개로, 13만7000㏊의 농지에 이들 저수지 물을 끌어다 쓰고 있다.
전북 완주의 대아저수지는 저수율이 7%로 떨어졌고, 경북 문경 경천저수지(12%), 충남 보령 청천저수지(15%),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15%), 충남 논산 탑정저수지(24%), 충북 진천 백곡저수지(26%), 전남 담양 담양저수지(26%) 등도 저수율이 30%에도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들 저수지의 평년 저수율은 50~70% 수준이었다.
이는 올해 전반적인 강수량 부족에 따른 것이다. 올해 강수량은 701㎜로, 평년의 1127㎜에 크게 모자라는 것은 물론 가뭄이 심했던 지난해 같은 기간의 895㎜보다 적은 것이다. 지역별로는 경기(486㎜)를 비롯 충남(536㎜), 충북(570㎜), 경북(590㎜), 강원(614㎜), 전북(618㎜) 등 중북부 지역의 가뭄이 극심하다. 경기지역의 경우 평년 강수량의 42.2%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5월 이후 강수량이 급격히 줄었다. 5월 57㎜(평년 102㎜), 6월 97㎜(159㎜), 7월 180㎜(290㎜), 8월 111㎜(275㎜)에 이어 9월 들어서도 17일까지 39㎜의 비가 내려 평년의 103㎜에 크게 모자라다. 여름철에 내려야할 비가 내리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원인인 셈이다.
문제는 내년 봄이다. 모내기 등을 위해 충분한 영농용수가 확보돼야 하는데, 겨울철에는 강수량이 미미하기 때문에 하늘만 바라보며 기다릴 수 없는 실정이다. 평년 강수량을 보면 10월 50㎜, 11월 47㎜, 12월 25㎜, 1월 28㎜, 2월 35㎜로, 지금과 같은 가뭄상황을 벗어날 만큼의 농업용수를 확보하기는 어렵다. 농어촌공사는 평년 수준의 강수량을 기록할 경우, 내년 봄(4월1일 기준) 예상저수율은 55.7%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장기 기상예보에 따르면 가을철 강수량도 충분하지 않아 강수 부족현상은 내년 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단기대책은 물론 최근 가뭄이 자주 발생하는 등 기상변화에 따른 중장기대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농업용수를 관리하는 농어촌공사에도 비상이 걸렸다. 저수량을 최대한 확보하고, 가뭄이 극심한 일부지역에 대한 특별대책도 마련했다. 내년 봄까지 저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논농사가 사실상 마무리되는 이달 말까지 절수관개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강수현황 모니터링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용수 재활용시설인 '양수저류'를 확대해 모내기가 가능한 저수율 30% 이상을 저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지난해와 올해 연속 가뭄을 겪어 사실상 물 고갈상태인 강화지역 저수지에는 한강물을 끌어들이기로 했다. 38억여원을 투입해 김포지역 39.5㎞와 강화지역 77.4㎞를 수로로 연결, 3489㏊의 농지에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최소한의 양수저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중규모 저수지 확대, 지하댐 건설 등 중장기 과제를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진수 충북대 교수는 "저수지 둑높이기 사업과 같은 중규모 저수지 사업을 추진해나갈 필요가 있다"면서 "중규모 저수지는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크지 않고, 홍수를 줄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이재 새누리당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국내 지하댐은 농업용 5개, 생활용 1개 뿐이며 1986년 이후 29년간 농업용 지하댐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며 "기후나 지형의 영향을 덜 받고 저수량 변동량이 적은 지하댐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예산은 해마다 모자란 실정이다. 정부는 내년도 농촌용수개발사업 관련 예산에 3302억원을 배정했다. 농어촌공사가 제시한 3820억원에 비해 500억원 이상 부족한 규모다.
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