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청년희망펀드' 기업돈 대신 개인 기부만 받는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정부가 박근혜 대통령의 아이디어로 추진하는 '청년희망펀드' 조성에 법인(기업) 명의의 기부금은 받지 않기로 했다. 청년 실업 문제를 해소하는데 사회지도층과 부유층이 앞장선다는 '노블레스 오블리제'의 취지를 살려 개인 명의의 기부금으로 펀드를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18일 "'청년희망펀드'는 사회지도층과 가진 사람들이 자발적인 기부를 통해 국가적 과제인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기존의 다른 펀드와는 확실히 다른 모금·운용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 주도의 펀드 모금이 과거의 '관제 모금'으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우려를 감안한 것이다.

이 관계자는 "기업인이 아닌 기업이 기부를 하는 것이 노블레스 오블리제의 정신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그동안 많았다"면서 "청년희망펀드의 취지를 훼손하지 않도록 기업의 기부는 받지 않고, 기업인이나 부유층 개인이 스스로 기부하는 경우에만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앞서 "사회지도층, 공직사회, 민간에서도 자발적으로 참여가 확대될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갈 것"이라며 "월급이나 소득에 대한 일정비율 또는 일정금액의 기부를 통해 조성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일시금 2000만원과 매달 월급에서 20%를 기부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퇴임할 때까지 총 1억원 이상을 기부할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청년희망펀드'를 운영할 가칭 '청년희망재단' 설립에 대해 "국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도록 매우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될 수 있는 재단을 만들 계획"이라며 "연내에 재단 설립 절차를 마치겠다"고 알렸다.


펀드 활용처는 정부의 일자리 사업과 겹치지 않으면서도 펀드 조성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민간사업으로 국한할 예정이다. 정부는 청년구직자에 대한 지원, 청년창업 소액대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한 민간 일자리 창출 지원 등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의 발표 직후 새누리당 지도부가 기부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고, 각계에서 기부의사를 밝히고 있다.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은 "청년 일자리 확충은 시급한 과제로 '청년희망펀드'에 대한 기부는 국가의 미래에 대한 투자라고 생각한다"면서 개인재산 20억원을 내놓기로 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인 자승 스님도 종교계에서는 처음으로 2000만원 기부 의사를 전했다.


하지만 고위공직자와 공공기관장들은 부담스러워 하는 눈치다. 정부세종청사에 근무하는 고위공무원 A씨는 "대통령이 월급의 20%를 기부하면, 장·차관과 고위공무원은 얼마를 내야 할 지 이런저런 말들이 있다"면서 "매달 월급에서 일저액을 떼내는 건 사실 부담스럽다"고 전했다.


재계의 고민은 더욱 깊다. 전국경제인연합 등 경제단체들은 청년희망펀드에 어떤 형태로 얼마를 기부해야 할 지 가이드라인을 잡지 못하고 있다. 일부 대기업의 경우 경영악화로 기부를 생각할 겨를이 없는데다, 재벌오너나 경영진이 기부할 때 기업의 규모 등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아직 어떻게 하자고 정해진 건 없다"면서 "삼성 경영진 등이 먼저 기부에 나서면 이를 기준으로 삼지 않겠느냐"고 언급했다.




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