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공공차관 내년에 전액 상환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3초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정부가 올해 말 기준 잔액이 2870만달러(약 343억원)인 공공차관을 내년까지 모두 갚을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이런 내용을 '2016년 공공자금관리기금운용계획안'에 담아 11일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공공차관은 정부가 외국 정부나 국제기구에서 빌리는 자금이나 자본재로, 상업차관보다 상환 기간이 길고 이자율이 낮다.


경부고속도로, 수도권 전철, 장충체육관, 노량진수산 수산시장 등이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들여온 공공차관으로 지어졌다.

한국의 공공차관 잔액은 1982년 18억6000만달러까지 늘었으나 수출 증가와 경제 발전으로 차츰 차입 규모가 줄었다. 그러다 1999년 터진 외환위기로 국제통화기금(IMF) 차입이 증가하면서 1999년 39억1000만달러까지 증가했다.


2000년대 들어 공공차관 잔액은 급속히 줄어 2009년 22억8000만달러, 2011년 10억2000만달러, 2013년엔 1억3900만달러가 됐다.


올해 말 기준으로 남는 공공차관은 내년 만기인 미국 국제개발처 차관 60만달러와 2021년 만기인 미국 농업 차관 2810만달러다.


정부가 5년 당겨 갚기로 한 미국 농업차관은 1981년 농산물 흉작이 났을 때 들여온 것이다.


한국은 1959년 이후 1999년까지 40년간 공공차관을 들여왔다.


2010년부터는 경제협력개발기구 개발위원회(OECD DAC) 회원국이 돼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탈바꿈했다.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