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700·2.1·2.5·정부 논리 번복까지…주파수가 뭐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12초

신규·기존 통신 사업자 주파수 할당
무선호출기 재할당 현안도
미래부, 지난 2년간 논리 스스로 뒤집기 까지
도대체 주파수가 뭐지?


700·2.1·2.5·정부 논리 번복까지…주파수가 뭐지?
AD

[아시아경제 권용민 기자] 올 연말까지 제4이동통신사가 선정되면 신규 사업자에 대한 주파수 할당이 이뤄진다. 2.5㎓ 대역(TDD 방식)의 40㎒폭이나 2.6㎓ 대역(FDD 방식)의 40㎒폭이 할당된다.


여기서 남은 주파수 대역은 나머지 대역(1.8㎓ㆍ2.1㎓ㆍ700㎒ 등)과 함께 기존사업자들에게 경매로 부쳐진다. 무선호출기(TRS) 주파수를 재할당 하는 현안도 남아있다.

최근에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상파-통신사 700MHz 주파수 분배 정책'에 대해 지난 2년간의 논리를 스스로 뒤집으며 논란이되고도 있다.


이 대역을 방송용으로 분배한 것이 ▲국제적 추세에 어긋나지 않았고 ▲국가 재정수입에도 별 문제가 없으며 ▲보호대역 축소로 인한 간섭 발생도 걱정할 필요 없고 ▲국회가 주파수 소위를 만들고 정부를 압박한 것 역시 절차적 문제(외부압력)가 없었다는 것.


도대체 주파수가 무엇이길래 끝없는 '말'이 나오는걸까.


주파수는 전파가 공간을 이동할 때 1초 동안에 진동하는 횟수를 말한다. 이를 처음 증명한 독일의 과학자 헤르쯔(H.R.Hertz)의 이름을 따서 ㎐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파동이 1초 동안 1번 진동하면 1㎐라 하고, 1000번 진동하면 1㎑, 100만번 진동하면 1㎒, 10억번 진동하면 이를 1㎓라고 한다.


파장이 길다(장파)라는 의미는 주파수가 낮다는 의미고 파장이 짧다(단파)는 것은 주파수가 높다는 의미다.


파장이 짧으면, 즉 주파수가 높으면 전송 가능한 정뷰량이 많아 고정통신이나 초고속통신에 적합하다. 직진성이 강하지만 비 오는 날에는 멀리까지 전달이 힘들다는 약점이 있다.


반면 낮은 주파수는 전송 가능한 정보량이 적지만 멀리 전달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해상·항공통신 등 장거리 통신에 적합하다. 회절성이 강해 장애물이 있어도 송신이 유리하며 넓은 방향으로도 송신기 용이하다.


주파수에 대한 분쟁이 끊임없이 생기는 것은 바로 이 자원이 '토지'와도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주파수는 자원이 한정(3KHz부터 3000GHz) 돼 있다. 따라서 토지를 주거용이나 상업용으로 나누는 것과 같이 통신용·방송용·공공용으로 분배해 사용해야 한다.


효율증진을 위한 재개발이 가능하다는 점도 같다. 토지가 재개발이 가능하다면 전파는 주파수 재배치나 용도 전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SK텔레콤이 3G로 사용 중이던 2.1GHz 대역 일부를 LTE용으로 용도 전환한 것이나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을 디지털로 전환한 뒤 생긴 700Mhz를 사례로 들 수 있다.


주파수는 한 번 확보하면 최소 10년 이상을 사용한다. 이해관계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도 주파수 전략·정책적 판단 한 번으로 국가나 한 기업의 경쟁력이 좌우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권용민 기자 festy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