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경련, "EU단일특허제도 활용해 유럽 시장서 경쟁력 갖춰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 2016년 하반기부터 EU단일특허 및 통합특허법원제도가 시행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기업들이 유럽 내 특허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EU 단일 특허제도와 통합특허법원제도가 시행되면 특허 하나로 EU 전체 국가에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특허 침해에 대한 소송 역시 한번만 진행하면 되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의 유럽 내 특허출원 및 소송 관련 업무가 한층 용이해질 전망이다.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서울 코엑스에서 법무법인 세종과 공동으로 '유럽단일 특허 도입과 우리 기업의 대응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전경련은 EU단일특허제도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유럽 시장에서 특허 경쟁력을 확보해야한다고 제언했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유환익 전경련 상무는 "우리나라의 유럽특허 확보 비율은 미국, 일본 등 경쟁상대국 보다 낮아 잠재적 특허 분쟁에 취약한 실정"이라며 "유럽 시장 진출 확대를 모색하고 있는 기업들은 지금보다 더 적극적으로 유럽특허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EU단일특허제도는 언어의 장벽과 비용, 제도적 복합성으로 인해 유럽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느꼈던 우리 기업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발표자로 나선 조아킴 펠지스 ALLEN & OVERY 변호사는 "단일 특허는 한 번에 절차를 마무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무효 판정을 받으면 한 번에 효력이 소멸을 하게 되기 때문에 국가별 특허와 새롭게 도입된 단일 특허 중에 전략적으로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단일 특허는 현행 국가별 특허와 병행해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강한 특허의 경우 단일 특허로 취득하는 것이 무방하나 그렇지 않을 경우 현행대로 국가별 특허를 선택해 추후 소송시 EU지역 전체에서 무효가 되는 위험을 피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강한특허(Invincible patent)란 특허의 권리가 매우 넓어 이를 회피하거나 빠져나갈 수 없으며 어떤 선행기술에 의해서도 무효화시킬 수 없는 특허를 말한다.


이 날 세미나에서는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될 유럽통합특허법원 제도도 소개됐다. 통합특허법원은 개별 국가별로 특허소송을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 판결의 효력이 해당 국가에 한정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경련 측은 "유럽 25개 회원국 전역에 효력에 미치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은 특허 취득 후 7년까지는 각국 일반 법원에서도 특허소송을 진행할 수 있는 '유럽통합특허 법원 기피신청' 권한을 적절히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