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31일 오후 '2015 개정 교육과정 2차 공청회'서 발표
고교 미적분 중 '수열의 극한' 삭제… 초교 원기둥 겉넓이·부피도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수많은 '수포자(수학포기자)'를 양산한다는 지적을 받아온 초·중·고교 수학 과목의 내용이 줄어든다. 고교의 미적분 중 '수열의 극한'이나 '구분구적법'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일부 교육과정은 이수 시기를 추후 학년도로 넘겨 학생들의 학습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교육부는 31일 오후 한국교원대학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문·이과 통합형) 제2차 공청회'를 열고 수학·과학(통합과학)·환경·정보·실과(기술·가정)·창의적 체험활동·진로와 직업 교육과정 개정 시안에 대해 의견을 수렴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먼저 수학 과목의 경우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성취기준을 줄이고, 일부 내용의 이수 시기를 상향 조정하는 등 학습 수준과 범위를 적정화한다.
예컨대 초등학교 수학의 경우 분수와 소수의 혼합계산이나 원기둥의 겉넓이와 부피 등을 삭제하고 정비례와 반비례 등의 개념을 중학교에서 배우도록 했다.
특히 고등학교 수학에서 문제가 됐던 미적분 학습 내용 중 '수열의 극한', '구분구적법'등 일부 내용을 삭제하는 등 조치를 취한다.
뿐만 아니라 평가 유의사항을 신설해 교사들에게 안내함으로써 교육과정에서 벗어난 내용이 시험에 나올 수 없도록 할 방침이다.
이날 공청회를 진행할 과학의 경우에도 학습량 적정화에 초점을 맞춰 개정된다. 수학과 마찬가지로 각 학교급별로 배우기 어려운 내용은 삭제하고 일부 내용은 이수 시기를 상향 조정하도록 했다.
또 이번 개정안에서 고등학교 문·이과 공통과목으로 신설되는 '통합과학'은 자연현상에 대한 핵심개념과 원리 중심으로 학습량이 정해졌고, 내용도 흥미롭고 재미있게 구성했다고 과학 교과과정 개정 연구진은 밝혔다.
정보와 실과(기술·가정) 교과목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SW) 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이 개정안에 포함됐다.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이 실과 내 ICT중심 정보교육을 SW기초소양 중심으로 개편해 17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하고 이를 이어 중·고등학교에서 정보 교과로 심화 학습 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의 SW중심 내용을 확대한다.
이 외에도 환경·창의적 체험활동·진로와 직업 교과 등의 개정 사항이 공청회에서 발표, 논의된다.
한편 교육부는 다음달 초까지 교과과정 공청회를 진행한 후 같은 달 말까지 심의를 거쳐 확정, 고시할 예정이다. 이렇게 고시된 교과과정은 2018년부터(국정은 2017년) 연차적으로 적용된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