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광복 70년, 성장의 엔진을 다시 데우자

시계아이콘01분 02초 소요

오는 15일은 우리나라가 광복을 맞이한 지 70주년이 되는 날이다. 일제의 압제에서 벗어난 대한민국은 지난 70년간 온갖 역경을 헤치고 '기적의 역사'를 써왔다. 신생 최빈국에서 세계 13위의 경제대국으로, 독재를 떨치고 민주화를 이룬 나라로 거듭난 대한민국의 국민들은 자긍심을 갖고 이날을 경축할 자격이 충분하다.


통계청이 최근 내놓은 '통계로 본 광복 70년 한국 사회의 변화'는 광복 이후 한국 사회가 이룬 비약적인 발전을 수치로 보여준다. 1953년 477억원이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014년 1485조원으로 3만1000배 이상 증가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67달러에서 2만8180달러로 420배가 늘어났다. 1956년 2500만달러이던 수출은 지난해 5727억달러로 2만3000배 늘었다.

그뿐인가. 농림어업에 의존하던 1차 산업국가에서 반도체와 자동차, 선박 등을 수출하는 세계 6위 수출대국으로 탈바꿈했다. 1997년 외환위기 때 거의 바닥을 드러냈던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말 3636억달러로 불어났다. 1997년 말 396.3%까지 치솟았던 제조업 부채비율은 2013년 92.93%까지 떨어졌다. 국가와 기업, 개인의 살림살이가 획기적으로 튼실해진 것이다.


해방 이후 이룬 이 같은 성취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인가. 장담할 수 없다. 주저앉느냐, 다시 일어서느냐 중대 갈림길에 서 있다. 저성장은 고착화 조짐을 보인다. 사회적 갈등은 갈수록 깊어진다. 이를 극복하고 선진국으로 진입할지, 이대로 좌절할지를 가를 기로에 서 있다. 과제는 쌓여 있다. 중산층의 붕괴, 사회 불평등 심화,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등 압축성장 과정에서 빚어진 부작용의 해소는 급선무다. 산업 쪽에서도 '모방과 추격 전략'을 대체할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 구축이 절실하다. 여기에 최근의 북한 지뢰폭발 사태에서 보듯 분단 리스크는 상존한다.


그렇지만 돌파구가 없지 않다는 것이 우리의 판단이다. 정부는 국민을 통합하고 미래의 국가비전을 제시하며 신성장동력을 발굴하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기업은 미래를 선도할 새로운 사업을 찾아 나서는 기업가 정신으로 재무장해야 한다. 국민들도 지난 70년을 돌아보며 우리의 저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누구인가. 2차 세계대전 후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한 유일한 국민이 아닌가. 정부와 기업, 개인이 혼연일체돼 식어가는 성장의 엔진을 다시 뜨겁게 데우자. 광복 70주년을 '선진 한국'을 후세에 물려주는 출발점으로 만들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