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독일 분유, 압타밀·홀레·베바 등 '과대 입소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성분·설계 국산보다 못한데 강남엄마들 선호…수입량 1년만에 2배 늘어

직구 분유, 축산물 분류 안전성 우려


독일 분유, 압타밀·홀레·베바 등 '과대 입소문'
AD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압타밀, 홀레, 베바 등 독일산 분유가 소위 '강남분유'로 입소문을 타며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수입량 만큼이나 피해사례도 늘고 있어 소비자들의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6일 관세청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분유 수입액은 5115만8000달러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그중에서 두드러지는 증가세를 보이는 것은 독일산 분유이다. 독일산 분유 수입액은 지난해 2566만3000달러로 전년 대비 100% 증가, 1년 만에 2배 늘었다. 물량 면에서도 2013년 543t에서 지난해 1100t으로 껑충 뛰며 독일산 분유는 분유 수입량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양이 국내로 유입되고 있다.

독일산 분유 구매가 늘어나는 것은 선진국에서 생산한 분유 제품은 아무래도 국산보다 좋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특히 독일은 식품에 대한 규제가 엄격하기 때문에 그만큼 영유아 제품은 품질이 좋고 가격 또한 비싸지 않다는 인식이 형성돼 있다.


하지만 수입물량이 늘어나면서 피해사례도 늘고 있다. 육아 커뮤니티 등에는 주문 제품과 수령 제품이 다르지만 교환·환불 등이 쉽지 않고 때로는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제품이 배송돼 불만을 토로하는 글이 올라와 있다.


또한 아이의 변화, 제품성분에 대한 정확한 상담을 제조업체와 전문적으로 상담할 수가 없어 육아 커뮤니티와 구매대행 사이트를 통해 의견을 나누는 소비자들도 있다. 해외 배송의 특성상 한 번에 다량의 분유제품을 구매했지만 정작 아이에게 맞지 않아 중고거래 사이트에 되파는 경우도 있다.


한 포털사이트의 중고물품 거래 커뮤니티에는 매일 수십 건의 독일산 분유 제품을 판매하겠다는 글이 쏟아진다. 한 누리꾼은 "아이 먹일려고 압타밀 10통을 샀는데…안 먹네요"라고 판매글을 올리는 등 해외 배송의 특성상 다량을 구매한 후 교환 및 환불이 쉽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중고물품으로 구매 가격 이하에 제품을 되팔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독일산 분유 선호가 높아지고 있지만 성분과 설계를 살펴보면 국내 분유 제품이 오히려 한국 영유아들에게 맞춤영양을 공급한다"며 "독일산 분유의 대표 제품인 압타밀을 비교해보면 단계별 월령이 '0~6개월, 6개월 이후, 10개월 이후' 등 3단계로 구분되지만 국내 제품들의 경우 대부분이 '0~100일, 100~6개월, 6~12개월, 12개월 이상' 4단계로 보다 세분화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특히 국내 제품들의 영양설계를 살펴보면 모유 수준의 유당을 함유하고 있는 반면 압타밀의 경우 유당과 함께 전분을 사용하고 있어 아기들의 소화불량 등을 유발할 우려가 높다"며 "또 국내 분유 제품들은 대부분이 면역, 정장, 두뇌, 소화 등의 기능 성분이 함유돼 있지만 압타밀은 두뇌, 정장 기능만 함유돼 기능적 부분에서도 국내 분유가 우수하다"고 덧붙였다.


실제 남양유업의 '임페리얼XO'는 부분 가수분해 단백질을 배합해 아기의 소화력을 높이고, 면역 및 정장, 두뇌 기능을 강화했다. 매일유업의 '앱솔루트 명작'은 유산균, 올리고당 등의 정장기능과 DHA 등 두뇌기능을 강화했을 뿐만 아니라 면역 및 소화기능 성분도 담아 아기에게 기능적 부분도 지원한다. 일동후디스의 '트루맘'은 초유면역성분, 초유성장인자와 함께 정장, 두뇌, 소화 기능이 함유돼 있다.


한국유가공협회 관계자는 "강남분유라 불리는 압타밀이 국내 분유와 비교했을 때 기능성 성분은 턱없이 적고 특별한 장점이 없음에도 인기 있는 이유는 해외 직구는 정식 수입과 달리 규제할 근거가 전혀 없기 때문"이라며 "다른 식품군의 경우 최근 구매대행 업체가 안전성을 신고하도록 했지만 유독 분유만은 축산물로 분류돼 안전성 관리대상에서 제외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분유의 경우 영유아의 건강과 직결되는 제품인 만큼 이에 대한 관리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