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고흥 마늘의 위기…힘든 농사에 밭떼기거래 횡포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4초

[아시아경제 최경필]

고흥 마늘의 위기…힘든 농사에 밭떼기거래 횡포도 <고흥군의 마늘 재배농민들이 고령화, 일손부족, 밭떼기 거래의 횡포 등을 겪으면서 마늘농사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AD


전남 최대의 마늘 주산지로 명성을 떨쳐온 고흥. 그러나 고령화에 따른 일손 부족으로 재배면적이 줄어들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게다가 마늘 판매가 대부분 포전거래(밭떼기)로 이뤄짐으로써 도매상들의 횡포가 심해 이를 방지하기 위한 표준거래계약서 정비 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고흥군 및 재배농가 등에 따르면 올해 고흥지역 마늘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4.7% 줄어든 1523㏊에 머물러 생산량도 17.5% 감소한 2만1809t에 그쳤다.

재배농가도 지난해 7957농가에서 7908농가로 49농가가 다른 작물로 전환했다. 재배농민의 고령화와 함께 힘든 마늘농사의 일손부족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때문이다.


재배면적은 최근 가장 많았던 2013년 2352㏊에 비하면 35.2%나 감소했고, 생산량도 3만1799t에서 31.4%나 줄었다.


생산량 70% 밭떼기 거래…표준계약서 정비 시급

통계청 자료에서도 고흥은 경남 창녕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재배면적이 많은 주산지이지만 70%가 포전거래로 부산·대구 등지의 도매상들에게 헐값에 팔리고 있다.


지역내 수매량은 30%에 그치고 있다. 녹동농협과 풍양농협 등 2곳에서만 겨우 5% 정도 수매하고 있고, 25%가 영세한 이 지역 도매상들의 몫이다.


이 지역 농협들이 마늘 수매를 꺼리는 것은 심한 가격변동과 과거 마늘 수매 및 거래 잘못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어 통폐합까지 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또 고령의 재배농업인들이 가격 불안심리와 일손 부족의 어려움 때문에 도매상들에게 포전거래로 넘기면서 피해 사례도 그치지 않고 있다. 타지 도매상들이 고령의 농민들에게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잔금을 떼먹는 횡포도 부리고 있다.


“병해충 발생 등으로 작황이 좋지 않다”며 잔금의 절반을 일방적으로 깎아버리는 사례도 있었고, 정상적인 수확이 예상되는데도 잔금을 10%씩 삭감한다는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


고흥군은 이런 잘못된 포전거래 관행을 바로잡기 위해 직접 나섰다. 군은 2014년 9월부터 시행된 농림축산식품부 표준계약서에 따라 포전거래매매계약서를 작성하도록 농민들에게 당부하고 있다.


이 계약서에서는 총 매매대금의 30% 이상을 선도금으로 지급하고 약정반출일부터 10일 이후에도 반출하지 않을 때는 계약을 해제한다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지만 새로운 문제점도 드러나고 있다.


오히려 이를 악용하는 상인들이 있을 정도로 상인들의 불공정거래를 근절하기에는 아직도 상당히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고흥군 관계자는 “국회 차원의 법령 정비가 필요해 지역구 국회의원을 통해 건의했고, 군에서도 농산물 산지공정거래 정착을 위한 관리조례 제정을 추진 중”이라며 “문제점에 대해 농민단체와 협의해 자체 표준계약서를 개정해 시행하고 농가에도 홍보해 내년부터는 생산자 주도의 매매계약을 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마늘가격 2배 올라…수확기계 성능 개선 시급

올해 재배면적이 크게 감소한 탓에 마늘 가격은 2배 정도 올랐다.


포전거래도 전년에 비해 2배 정도 오른 3.3㎡당 1만~1만2500원선이었다. 산지 경매가격은 1단(50개 묶음) 기준으로 최상품이 1만2500원까지 올랐다.


마늘농가들의 일손을 덜어주기 위한 파종 및 수확기계화 도입도 농가들의 관심 부족과 토질 문제로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흥군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고흥은 남해 등 다른 주산지와 달리 점토질이 많고, 농가에서 기계화 작업을 할 수 있는 적당한 간격으로 밭두렁을 만드는 것을 꺼리다보니 수확기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기계화를 위한 논마늘 재배가 크게 확대되지 못한 것도 기계화 도입 및 재배면적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수년째 마늘 재배에 매달려온 김모(58)씨는 “재배면적을 늘리고 싶어도 인력을 구하기 힘들어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면서 “토질 성분에 맞는 기계 개발도 시급하고 선별기 등 농업인들의 일손을 덜어줄 수 있는 기계 개발에 대한 정부 차원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농식품부에서도 기존 밭작물 수확기 등의 성능 저하 및 고가의 기계값 때문에 보급량이 줄어들자 기존 기계의 성능 개선과 함께 고령 농업인 및 여성 농업인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형기계 개발 등도 추진 중이다.


올해부터 5년간 밭농업 기계 개발에 민간투자를 포함해 총 1291억원을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경필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