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홈플러스, 비밀 매각 논란 이어 노조 간부 표적 탄압까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홈플러스 조합원 카톡방 사찰 및 표적 탄압 의혹

홈플러스, 비밀 매각 논란 이어 노조 간부 표적 탄압까지? 7일 서울 강남구의 홈플러스 본사 앞에서 홈플러스 노동조합원들이 홈플러스 노동조합 최형선 경기본부장에 대한 표적탄압 징계시도에 대해 홈플러스를 규탄하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열었다.
AD


[아시아경제 최서연 기자] 홈플러스 노동조합이 홈플러스 본사와 사모펀드로의 매각과 매각 과정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노조 간부에 대한 표적 탄압과 징계시도를 주장하고 있다. 이에 홈플러스 본사는 정당한 경로를 통한 제보에 의해 관련 내용을 접수했고 적법한 절차에 따라 감사를 진행했다고 맞섰다.

홈플러스 노조는 7일 서울 강남구 홈플러스 본사 앞에서 홈플러스 노동조합 최형선 경기 본부장에 대한 표적탄압 징계시도를 규탄하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열었다.


노조 측은 "최형선 본부장이 올해 1월에 조합원 카톡방에 올렸던 사적인 소통을 빌미삼아 이 글이 취업규칙을 위반한다며 징계위원회를 개최한다고 통보해 왔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에 대해 표적탄압이자 매각 국면에서 노동조합 흔들기가 아닌가 하는 의혹을 제시하고 있다. 노조는 "회사 측이 카톡 내용을 제보 받았다고 주장하지만 여러 정황을 볼 때 회사가 노동조합의 카톡방을 사찰하고 표적 탄압을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노조가 사찰의혹에 대한 투명한 공동조사를 요구했으나 회사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가 이달 갑자기 최형선 본부장에 대한 징계위를 개최했다"고 말했다.


이어 "최형선 본부장은 홈플러스 노동조합 북수원 지부장이자, 매장이 가장 많이 집중돼 있어 노조 결성이 가장 활발한 경기 지역의 본부장"이라며 "이러한 시점에 가장 활동이 활발한 경기도 지역의 간부에 대한 징계위 개최는 표적 탄압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홈플러스 본사 관계자는 "지난 5월 지부현안간담회를 통해 조합 사무국장에게 '정당한 경로에 의해 제보됐고, 회사는 제보자를 보호할 의무가 있음'을 전달했다"며 "또 사무국장은 회사의 최종 입장을 조합 위원장에게 전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약 관련 감사건에 대해 조합이 '사찰', '표적징계', '노동조합 흔들기'라는 명목으로 내부 감사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일이 생긴다면 조합 스스로가 공정성과 도덕성을 저버리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홈플러스는 지난 1일에도 도성환 사장에게 사모펀드로의 매각, 분할 매각 반대 입장을 전달하고 고용안정 등을 위해 매각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해 달라고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연 바 있다.




최서연 기자 christine8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