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부처간 엇박자에 올 여름 해수욕장 안전 '빨간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해경 안전요원 투입규모 예년대비 47% 불과...조직개편·인력축소 원인...해수부·해경 알면서도 손놔...119구조대·민간인력 투입으로 '땜질'

정부 부처간 엇박자에 올 여름 해수욕장 안전 '빨간불' 서해안 최대 바닷물 놀이터인 대천해수욕장 전경.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본격적인 여름을 맞아 개장을 앞둔 해수욕장 안전에 큰 구멍이 뚫렸다. 안전 관리의 한 축을 담당하던 해경의 해수욕장 안전요원 배치 인력이 전년 대비 절반도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부랴부랴 119 소방대원 추가 투입ㆍ민간인력 고용 등의 대책을 발표했지만 여름철 안전 행정의 최우선 현안인 해수욕장 안전 관리에 미리 대비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28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전국 해수욕장 안전 관리에 투입 가능한 해경 안전 요원 숫자가 하루 평균 97개소 407명에 불과하다. 지난 3년간 하루 평균 125개소에 870명을 투입했던 것에 비교하면 일평균 463명이 감소해 47% 수준이다. 해경은 그동안 119 수상구조대와 함께 해수욕장 안전 관리 인력의 절반을 차지했었다.


이같이 해경의 해수욕장 안전 요원 숫자가 급격히 감소한 것에 대해 정부는 해경의 조직 개편에 따른 인력 축소, 업무 확대 등을 이유로 들고 있다. 각 지역 해양경철서 인력들이 조직 개편에 따라 수사ㆍ정보 분야를 중심으로 대거 육상 경찰로 넘어 갔고, 연안사고 예방법 시행에 따라 선박 근무자들의 업무가 크게 늘어나 해수욕장 안전 관리요원 투입 가능 인력이 줄었다는 것이다.

정부는 우선 119수상구조대 투입 인력을 하류 평균 297명 늘리고, 더 부족한 인력은 지자체에서 자격을 갖춘 민간 안전 관리 인력을 확보해 배치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 부처간 엇박자에 올 여름 해수욕장 안전 '빨간불' 전남 보성소방서(서장 박병주) 119수상구조대는 보성 율포해수욕장 개장 기간동안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들을 대상으로 환자발생시 현장 응급처치 및 구급차로 병원 이송 등 피서객들의 안전을 만발의 준비를 하고 있다.최근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해수욕장에서 수영중 부상자 및 해파리에 쏘인 환자등이 발생해 119수상구조대의 응급처치를 받는 피서객이 늘고 있다.또한 119수상구조대는 현장 구조구급활동 뿐만 아니라 미아찾기, 이용객 편의제공 및 피서객들을 대상으로 상시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시민들의 든든한 손과 발이 되어주고 있다.문승국 보성119안전센터장은 “해수욕장을 찾은 관광객 한명 한명이 내 가족이라는 마음가짐으로 119수상구조대 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같은 정부의 뒤늦은 대응은 결국 부처간 손발이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해경은 조직 개편 및 업무 확대에 따라 해수욕장 안전 관리 요원 규모가 축소될 것을 뻔히 알면서도 손을 놓고 있었다. 해양수산부도 지난해 12월 해수욕장법을 제정ㆍ시행해 지자체에게 안전 관리를 맡기면서 인력 고용 등 관련 예산을 확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처 관계자는 "해수욕장법을 만들어 시행할 때 문제점을 파악해야 하고 예산을 세워서 대비했어야 했는데, 12월에 법이 제정돼 시행되다 보니 미처 예산을 확보하지 못했다"며 "각 기관간 긴밀한 협업체계를 통해 해수욕장내 인명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