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野 공천논란이 벌써부터 격심한 까닭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4ㆍ29재보궐선거 참패 후 문재인 대표의 책임론을 둘러싸고 계파간의 첨예한의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새정치연합이 극심한 당내 내홍에 휩싸인 데는 충격적 패배 못지않게 내년 총선 공천에 대한 두려움이 깊게 깔려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 대표는 지난 14일 당원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입장을 밝히려 했다 주변의 만류로 중단했다. 언론을 통해 유출된 문 대표의 입장문 초안에는 최근 당내 분란의 이면에는 공천권을 둘러싼 논란이 깔려 있을 가능성을 언급됐다. 문 대표는 "혹여 지도부를 무력화시켜 기득권을 유지하려 하거나 공천지분을 확보하기 위한 사심이 있다면 결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며 "제가 정치를 안 하면 안 했지, 당 대표직을 온존하기 위해 그런 부조리나 불합리와 타협하고 싶지는 않다"고 말했다.

문 대표 책임론을 강조했던 민집모(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는 13일 문 대표와의 간담회 자리에서 '공천권 등 어떠한 요구도 한 바 없다'고 반발했다.


이외에도 그동안 새정치연합은 공천권을 둘러싼 논란이 많았다. 가령 권노갑 상임고문은 "정당정치 관행은 주류 60%, 비주류 40% 배합이었다. 문 대표도 이 정신을 이어나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권 고문의 지분 언급은 곧바로 공천 몫 요구로 받아들여져 반발을 사기도 했다.

새누리당과 달리 새정치연합이 '공천권'을 둘러싸고 때이른 갈등을 빚고 있는 것은 '물갈이'를 결정할 권위 있는 보스(boss)가 없고 다선의원 비중이 크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과거 김대중ㆍ김영삼 전 대통령 등 과거 정당의 보스는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주기적으로 물갈이가 이뤄졌지만 계파가 권력을 분점하고 있는 새정치연합에서는 이처럼 한 개인의 의지만으로 공천권 행사가 불가능해 계파간의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새정치연합 의원들이 이처럼 물갈이론을 경계하는 까닭은 새누리당에 비해 다선 의원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은 점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의 3선 이상 의원 숫자는 42명으로 전체 130명 의원 가운데 32.3%에 달한다. 새누리당의 경우 3선 이상 의원은 160명 의원가운데 36명으로 22.5%에 불과하다는 점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평균 선수로 살펴봐도 새누리당 의원은 평균 1.84선인데 반해 새정치연합의 선수는 2.0선이다. 이같은 당내 다선 구조는 총선이 있을 때마다 물갈이 논란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더욱이 그동안 새정치연합의 경우에는 일정 선수가 넘어설 경우 당선 가능성이 높은 호남에 더 이상 출마할 수 없도록 제한을 두기도 했다. 자연스러운 세대 교체가 불가능함에 따라 인위적으로 세대교체에 나선 것이다. 호남 지역 의원들은 이 때문에 인위적인 물갈이론에 대한 경계 의식이 강하다.


그동안 지역내 기반 등 본선경쟁력 등을 들어 다선이 될 수 있었던 수도권 의원도 예외는 아니다. 이들은 십수년씩 한 지역구에 있다 보니 조직기반이 확고하게 갖춰져 당내 경쟁자가 없었다. 이 때문에 선거 때마다 공천을 받을 수 있었지만 개혁공천 바람이 불 경우 그동안 누렸던 지위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들 역시 개혁공천을 추진할 수 있는 강력한 당 대표에 대해 거부감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