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앙대 특혜 외압'박범훈 전 靑 수석 오늘 檢 출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직권 남용·횡령·두산과 관련성 집중 조사할 듯

'중앙대 특혜 외압'박범훈 전 靑 수석 오늘 檢 출석
AD


[아시아경제 박준용 기자]'중앙대 특혜 외압 의혹'의 중심인 박범훈(67) 전 대통령교육문화수석비서관이 30일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한다.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부장검사 배종혁)는 이날 10시께 박 전 수석을 소환해 직권남용과 배임혐의를 집중 수사할 예정이다.


박 전 수석은 2012년 8월 중앙대가 '본ㆍ분교 통폐합'승인을 받은 과정에 압력을 넣은 혐의(직권남용)를 받고 있다. 중앙대는 캠퍼스 통합과정에서 2012년 12월 단일교지 승인을 받아 부담해야 할 수백억원대 대학부지 매입비용을 아낀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수석은 또 '적십자학원 법인합병' 안건이 승인을 받은 과정에도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다. 그가 2012년 2월 중앙대가 3년제인 적십자간호대를 인수하도록 외압을 행사했다는 것이 논란의 핵심이다.


검찰은 두산그룹이 재단에 이권을 끌어오는 대가로 박 전 수석에게 보상을 줬다고 보고 있다. 박 전 수석은 지난해 3월 두산엔지니어링의 사외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또 그가 두산이 소유한 동대문 상가의 지분을 적정가격 보다 싸게 분양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검찰은 이 때문에 박용성(74) 전 중앙대 이사장이 재단이 이권을 받고 박 전 수석에게 대가를 주는 과정에 개입했는지도 살핀다.


이외에도 검찰은 박 전 수석의 개인 횡령혐의도 확인할 예정이다. 지난 2008년 박 전 수석은 국악연수원을 지으라며 자신의 경기도 양평 땅을 모 예술협회에 기부했었다. 양평군도 연수원을 건축에 9억5000만원을 무상으로 지원했다. 이듬해 연수원은 완공됐고, 기부한 땅과 양평군이 건축비를 지원한 건물의 소유권은 모 예술협회에서 다시 재단법인 뭇소리로 바뀌었다. 검찰은 결과적으로 양평군이 내놓은 건축비 등을 박 전 총장이 가졌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이미 박 전 수석의 혐의ㆍ그와 두산그룹과 연결고리에 대한 수사를 상당 부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27일 세종시 교육부 대학정책실과 중앙대, 박 전 수석 등 관계자의 거주지 등 10곳을 압수수색해 얻은 압수물 분석을 대부분 마무리했다. 또 박 전 수석과 공모한 것으로 알려진 이모 전 청와대 교육비서관, 오모 전 교육과학기술부 국장, 구모 전 교과부 대학지원실장 등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태희 전 두산 사장 등 중앙대 이사진도 불러 조사한 바 있다.


이달 26일에는 교육과학기술부 이주호 전 장관과 조율래 전 2차관을 참고인으로 불러 사실관계를 조사했다. 이 전 장관은 의혹이 제기되는 시점인 2010∼2013년, 조 전 차관도 비슷한 때인 2012∼2013년 각각 교육부 최고위직에 있었다.


검찰은 박 전 수석 조사를 마친 후 그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 박 전 수석의 진술을 듣고 박 전 이사장이 사건에 얼마나 관여됐는지 파악한 뒤 소환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박준용 기자 juney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