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총,"현대차노조, 명분없는 통상임금에만 매몰되지 말아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경총,"현대차노조, 명분없는 통상임금에만 매몰되지 말아야" 현대차노사 대표자들이 울산공장에서 임금체계 및 통상임금 개선위원회 회의를 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한국경영자총협회는 7일 통상임금과 임금체계 개선방안을 놓고 사측과 이견을 보이고 있는 현대차노조를 향해 통상임금 확대요구에만 매몰되지 말고 진정성을 갖고 노사상생의 길에 동참하라고 촉구했다.


경총은 이날 현대자동차가 노조측에 제시한 신(新)임금체계 개편안에 대한 논평을 내고 "근로자의 임금수준에 저하가 없도록 고심한 노력이 역력한 만큼 노조에서도 법적 명분이 없는 통상임금 확대 요구에만 매몰될 것이 아니라, 진정성을 갖고 노사상생의 길에 동참할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경총은 "노사정 대타협을 위한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대표기업인 현대자동차가 노사 간 논의자리에서 직무·성과중심의 합리적 임금체계 개편안을 선도적으로 제시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평가했다.


경총은 이어 "글로벌 시장의 톱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도요타, 폭스바겐 등 일본과 독일 완성차 기업들은 이미 직능급, 직무급에 성과급을 병행하면서 경쟁력 확보와 고용안정을 도모하고 있다"면서 "이에 반해 현대자동차는 연공급 임금체계로 인해 매출액 대비 인건비 수준이 해마다 상승하는 등 글로벌 경쟁력 상실이 크게 우려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총은 또한 "이번 회사측의 임금체계 개편안은 정년연장, 통상임금 범위 확대 등 우리 노동시장의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서 '고용안정'과 '미래 경쟁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노사 윈-윈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 2일 울산공장에서 열린 임금체계 및 통상임금 개선위원회 5차 본회의에서 수당체계 간소화와 직무급제 도입, 개인별 노력과 성과를 반영한 부가급제 도입, 성과배분 기준 수립 등을 포함한 신 임금체계안을 내놨다.


윤갑한 사장은 "회사가 제시한 신 임금체계는 미래의 지속가능한 생존과 공동발전을위한 것"이라며 "노사 모두의 노력과 지혜를 담아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그러나 회사 제시안에 상여금의 통상임금 산입과 관련한 내용이 없다며 반발했다. 노사는 당초 3월 말까지 임금체계와 통상임금 개선을 위한 합의안을 마련하기로했지만 이미 시간을 넘긴 데다 노조가 회사 제시안에 반발함에 따라 올해 임금과 단체협약 교섭을 앞두고 갈등이 커질 전망이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