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편의점 껌 매출 3월에 가장 높아…금연보조제보단 '졸음퇴치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기호식품임에도 봄철엔 목적성 구매 급증…커피, 에너지음료도 판매 크게 늘어


편의점 껌 매출 3월에 가장 높아…금연보조제보단 '졸음퇴치용'
AD

[아시아경제 최서연 기자] 시도때도 없이 졸음이 몰려오는 봄이다. 30일 CU(씨유)가 지난해 껌의 월별 매출 동향을 분석한 결과, 봄철 춘곤증이 새해 금연결심보다 편의점 껌 매출에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껌은 본격적인 봄이 시작되는 3월, 9.6%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며 일년 중 가장 높은 매출지수를 보였다. 반면, 매년 금연보조제로 수요가 높은 1월의 매출 비중은 8.7%로 나들이철인 4월(9.2%)과 10월(8.9%)보다 오히려 낮았다.


절대적인 매출도 지난해 3월의 껌 매출이 1월보다 12.1% 더 높았으며 특히, 담뱃값 인상으로 금연 열기가 어느 때보다 뜨거웠던 올해도 1월 대비 3월 매출이 17.2%나 높게 나타났다.

유독 3월 껌 매출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춘곤증 극복을 위한 구매 때문이다. 실제, 껌을 씹으면 턱 관절을 움직여 정신을 집중시키고 껌에서 나오는 당분이 뇌 활동을 도와 졸음을 퇴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껌의 계절별 매출 비중은 봄(3~5월)이 전체 매출 중 27.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을(9~11월) 25.4%, 겨울(12~2월) 24.4%, 여름(6~8월) 22.9% 순을 보였다. 구매 시간도 점심 이후인 오후 시간대(14~17시) 비중이 2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송석 BGF리테일 스낵식품팀 MD는 “껌은 대표적인 기호식품이지만 봄철엔 춘곤증이 몰려들며 졸음을 쫓기 위한 목적성 구매가 매우 높게 일어난다”며 “특히, 직장인들이 많은 오피스가와 차량이용객이 많은 로드사이드에서 매출 지수가 높다”고 말했다.


한편, 껌 외에도 춘곤증을 이겨내기 위해 카페인이 들어 있는 커피와 에너지음료도 전월 대비 각각 10.1%, 22.6% 매출이 증가했다. 얼음컵에 따라 마시는 아이스드링크도 20.8% 매출이 오르는 등 봄을 맞아 관련 음료들의 판매도 눈에 띄게 늘어났다.




최서연 기자 christine8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