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공기관 채용 혁신, 또다른 스펙 안돼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0분 57초

정부가 공공기관 채용 시스템의 혁신에 나섰다. 어학점수와 자격증 등 이른 바 '스펙'보다는 직무능력이 우선되는 채용 방식을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개발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해 공공기관 직원을 선발하도록 함으로써 취업준비생이 스펙을 갖추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고 교육과 현장 직무 간 괴리 등의 폐해를 해결하겠다는 게 목표다. 그러나 자칫 직무에 맞는 역량을 갖추는 일이 '제2의 스펙'이 될 수도 있다는 등의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따라서 NSC 채용 확산을 위한 준비만큼이나 취업준비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도록 철저히 준비하기를 바란다.


정부가 어제 서울지방조달청에서 130개 공공기관과 맺은 '직무능력중심 채용 양해각서(MOU)'에 따르면 이들 공공기관들은 올해 서류전형과 면접에 새로운 채용방식을 도입해 3000명을 뽑는다. 지원자는 입사지원서에 출신대학이나 학점 등을 밝히지 않아도 되며, 지망하는 직무를 잘 준비했는지를 중점 평가받게 된다. 또 공공기관들은 수험생 혼란을 막기 위해 올해는 서류전형과 면접에만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고 2016~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전공필기시험에서도 직무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바꾸기로 했다.

구직자들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들여 스펙을 쌓아 좁은 취업관문을 통과해도 직장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거나, 기업이 실무 투입을 위해 신입직원을 재교육해야 하는 게 비일비재한 만큼 정부의 정책방향은 맞다고 본다. 구직자가 취업하려는 기업을 제대로 파악하고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갖춰야 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인데도 현실은 그것을 따라가지 못했다.


NCS가 제대로 정착된다면 장기적으로는 이런 폐단은 물론이요 대학의 전공 교육과 산업 현장 간의 괴리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그럼에도 직무 자체가 무엇인지 모호해 혼란과 시행착오는 불가피해 보인다.

취업준비생이 800개에 육박하는 NSC를 일일이 준비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이나 직무능력 자체가 '제2의 스펙'이 돼 더 많은 비용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NSC의 취지를 살리려면 부작용을 최소화해 착근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그것이 고용시장의 왜곡현상을 바로잡고 역량 있는 인재를 확보하는 길임을 정부는 잊지 말아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