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러시아 경제, 제재에도 반등 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 1년 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병합한 이후 서방의 제재로 고통 받았던 러시아 경제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올해 들어 투자자들이 러시아에 다시 눈 돌리기 시작하면서 지난해 세계에서 가장 큰 변동성을 보인 러시아 루블화(貨)가 안정을 찾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올해 루블의 가치 변동폭은 거래량이 가장 많은 다른 30개국 통화보다 좁아졌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루블 표시 러시아 정부 채권 가치는 미국 달러화로 7센트 정도 올랐다. 반면 다른 신흥시장 국채 가치는 같은 기간 1.1% 떨어졌다.


러시아 기업 채권 수익은 더 짭짤하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가치가 7.3%나 오른 것이다. 같은 기간 MSCI 신흥시장 지수에 속한 다른 신흥시장 주가 상승률이 1.7%를 기록했지만 러시아 주식시장 MICEX 지수의 50개 기업 주가는 11.9% 올랐다. 미국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보다 성적이 좋은 것이다.

MICEX에 속한 기업들 가운데 78%는 같은 업종의 글로벌 경쟁사들보다 주가에서 뒤진다. 하지만 연간 매출 성장률에서는 저만치 앞섰다. 역설적이게도 이는 서방의 경제제재 덕이다. 해외 제품을 구입할 수 없게 된 러시아인들이 자국산 제품ㆍ서비스에 눈 돌리고 있는 것이다.


서방의 제재에도 MICEX 기업들은 이자ㆍ세금ㆍ감가상각비 공제 전 기업이익(EBITDA)에서 MSCI 신흥시장 지수의 기업들보다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시가총액이 160억달러(약 18조200억원)에 이르는 러시아 현지 할인 슈퍼마켓 체인 마그닛의 지난 1년 사이 매출 성장률은 31.66%를 기록했다. 글로벌 경쟁사들의 0.87%를 멀찌감치 앞선 것이다.


시베리아 서부에서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시총 228억달러의 노바텍은 성장률이 19.5%에 이르렀다. 다른 글로벌 경쟁사들의 경우 0.76%에 불과하다.


시베리아 서부, 사할린, 러시아 서남부 끝 카프카스, 북극 지방에서 석유를 생산하는 시총 410억달러의 국영 로스네프트는 성장률이 18.26%에 이르렀다. 글로벌 경쟁사들의 경우 0.76%에 불과하다.


이진수 기자 commu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