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주문 후 2시간 안에 배송" 김범석의 한국형 e커머스論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9초

직접 매입ㆍ배송으로 차별화 … "아마존도 안무섭다"


"주문 후 2시간 안에 배송" 김범석의 한국형 e커머스論 김범석 쿠팡 대표가 17일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형 다이렉트 커머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센터와 최초로 선보이는 2시간 배송 서비스를 통해 한국형 다이렉트 커머스 모델을 확립하겠습니다."

소셜커머스 기업 쿠팡의 김범석 대표는 17일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말하며 "아마존이 한국에 진출하는 것도 두렵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날 상품 판매부터 온라인 쇼핑의 모든 단계를 책임지는 사업모델, 전국 단위의 물류센터와 배송 인프라, 쿠팡맨 직접 배송 서비스 등 자사의 사업모델 변화와 향후 사업 전략을 소개했다.

그는 먼저 국내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등 이커머스 업체들과 미국 아마존과의 차이에 대해 언급했다.


국내 이커머스 업계는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시켜주는 위탁판매 플랫폼에 가깝지만 아마존은 제품을 직접 매입해 고객에게 판매하는 등 고객에게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는 이커머스 모델이라는 설명이다.


김 대표는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쿠팡이 아마존보다 한 단계 진화한 모델로 전국 단위의 물류센터를 구축하고 물건들을 직접 매입해 고객에게 판매, 더 나아가 직접 배송까지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쿠팡은 현재 국내 이커머스 기업 중 최대 규모의 물류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경기, 인천, 대구 등 7개 지역에서 운영 중인 물류센터와 신축 중인 인천물류센터를 포함해 내년까지 전국 물류센터를 9~10개로 확충할 계획이다. 모든 물류센터의 면적을 합하면 33만8894㎡으로 전 세계 최대 이케아 매장으로 알려진 광명시 이케아 영업매장 면적의 5.7배에 달하는 규모다.


쿠팡은 지난해 1000여대의 1t 트럭을 구입해 전국에 배치하고 쿠팡맨 1000여명을 채용하는 등 서울, 경기 등 6대 광역시에 당일 배송망을 구축했다. 최근에는 물류센터 및 전국 배송캠프에 근무하는 인력을 신규 채용했다. 기존 근무인력을 합치면 현재 쿠팡에 근무하는 인원은 5500여명에 이른다.


김 대표는 여기서 더 나아가 국내 최초의 2시간 배송 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지난해 초 직접배송 서비스를 도입할 당시 업계 전반에서 무모한 투자라는 우려가 많았지만 고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으며 판단이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했다"면서 "올해 상반기 내 주문 후 2시간 내에 배송하는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서비스는 기저귀, 생활용품 등 주부고객들이 긴급하게 필요할 수 있는 상품들을 대상으로 시행된다. 먼저 경기도 일산 지역을 시범 지역으로 선정해 테스트를 거친 후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아직까지 소폭 적자에도 불구하고 해외에서 쿠팡에 4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하고 쿠팡이 한국 내 배송 서비스에 큰 규모의 투자를 감행하는 까닭은 그만큼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며 "쿠팡에게는 아마존과의 경쟁이 아니라 고객의 실망이 더욱 두렵다"고 역설했다.


한편 쿠팡은 2013년 1463억의 매출을 올렸으며 42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3년 하반기 주식회사로 전환한 쿠팡의 지난해 감사보고서는 내달 처음 공개될 예정이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