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준양 출금'…포스코, 검찰 수사 확대에 바짝 긴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이 출국금지 조치되는 등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파헤치는 검찰 수사가 포스코 전 경영진의 비리 의혹을 규명하는 쪽으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면서 모기업인 포스코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포스코의 일부 임직원들은 주말에도 본사로 출근해 이번 사태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는 등 향후 검찰 수사가 어느선까지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15일 검찰과 재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정 전 회장을 비롯한 포스코 전현직 경영진 20여명을 출국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전 회장은 재임 시절 재정건전성이 떨어지는 부실기업들을 여럿 인수해 포스코 측에 거액의 손해를 입힌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이 정 전 회장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내린 것은 검찰의 수사가 진행중인 사건들이 모두 정 전 회장 재임시절 벌어진 일들이기 때문이다. 현재 검찰이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는 부분은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 의혹과 더불어 부도 직전의 성진지오텍을 인수해 포스코플랜텍과 합병한 건, 포스코P&S의 세금 탈루 의혹 등이다.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은 2009~2012년, 성진지오텍 인수는 2010년, 포스코P&S의 세금 탈루는 2013년에 각각 발생했다. 이는 2009년 2월부터 2014년 3월까지 5년간 포스코 회장으로 있었던 정 전 회장의 재임 기간에 벌어진 일들이다.


정 전 회장과 포스코 전현직 경영진 상당수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가 내려지자 포스코건설은 물론 이 소식을 전해들은 포스코 또한 당혹스러워하면서도 상황 파악에 분주한 모습이다. 주말인 이날에도 포스코 임직원 상당수가 본사로 나와 긴급회의를 하는 등 바짝 긴장한 모습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아직까지는(그룹으로까지 수사가) 번지지는 않았지만, 검찰 측에서 의혹이 있다고 하면 수사에 협조하며 업무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포스코 측에서는 사태 확산 가능성이나 정 전 회장 관련 의혹에 대해선 "아직 아는 것이 없다"고 답했다.

정 전 회장은 이명박 정권 시절 예상을 뒤집고 포스코 회장 자리에 올라 적극적으로 인수·합병(M&A)을 추진했고, 그 이후 포스코는 신용등급 강등, 실적 악화 등으로 시달려 왔다. 이 때문에 포스코는 검찰의 수사가 정 전 회장 시절 잇단 인수를 통해 몸집을 불렸던 과정으로까지 확대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 2009년 당시 30여개였던 포스코 계열사는 정 전 회장 취임 3년 후인 2012년 70개로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포스코는 정권이 바뀔 때 마다 곤욕을 치른 전례가 있다는 점도 포스코 직원들이 걱정하는 부분이다. 역대로 회장이 임기를 제대로 채운 사람이 드물 정도다. 정준양 회장의 전임인 이구택 회장도 로비 혐의로 수사를 받다가 돌연 자진 사퇴했다. 과거에 박태준 명예 회장과 황경로 회장도 뇌물수수 혐의를 받았던 적이 있고, 2002년에는 유상부 회장이 배임 혐의로 재판을 받기도 했다.


한편 검찰은 포스코 주주총회가 열리던 지난 13일 오전 인천 송도 포스코건설에 검사 5명이 포함된 40여명의 수사인력을 보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