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동산시장 꿈틀…"미분양도 다시 보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전세대란으로 주택구매 수요가 확대되고 주택 청약 1순위 자격이 완화되면서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4월부터는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사실상 폐지됨에 따라 분양가 상승 우려까지 더해졌다.


실제로 미분양 주택 수가 줄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월 말 전국 미분양 주택은 3만6985가구로 지난해 12월(4만379가구)보다 8.4% 감소했다. 미분양 주택이 정점을 찍었던 지난 2009년 3월(16만5641가구)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지역별 미분양 주택은 수도권이 전달보다 4.3% 줄어든 1만8955가구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지방 미분양 주택 역시 전달보다 12.3% 줄어든 1만8030가구를 기록했다. 주택 면적별로 보면 실수요 위주의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과 투자 수요가 많은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이 모두 줄었다. 85㎡ 초과 미분양 주택은 한 달 전보다 1075가구 감소한 1만2320가구, 85㎡ 이하 미분양은 2319가구 줄어든 2만4665가구로 집계됐다.


미분양 주택은 청약 통장이 필요 없고 원하는 동·호수 지정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분양 관계자는 "전세가격 급등과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으로 실수요자들이 아파트 구매의사가 높아지고 있다"며 "청약 1순위 기준 완화로 신규 분양 아파트에 대한 경쟁률이 높아지면서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청약제도 개편으로 청약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도권 알짜 미분양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효성이 용인시 기흥구 구성역 인근에 분양 중인 '용인 구성역 효성해링턴 플레이스'는 분당~수서 고속화도로, 분당선 구성역과 인접해있어 서울과 수도권으로의 접근성이 우수하다. GTX 구성역(가칭)이 개통되면 삼성역까지 10분대면 도착 가능하다. 이 아파트는 지하 2~지상 15층 6개동, 61~84㎡ 296가구 규모다.


대우건설의 '한강신도시 3차 푸르지오'도 48번 국도, 김포한강로로 1시간 내에 서울 진입이 가능하다. 2018년 개통 예정인 김포도시철도 구래역(가칭)이 500m내에 있어 서울 접근성이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지하 2∼지상 29층 15개동, 59㎡ 1510가구다.


이 밖에 시흥 배곧신도시에 조성되는 '시흥배곧 한라비발디 캠퍼스'는 특별계획구역에 처음으로 공급되는 아파트로, 지하 2~지상 40층 12개동, 71~138㎡ 2701가구의 대단지다. 서울 영등포에는 대림산업의 '아크로타워 스퀘어'가 분양되고 있다. 지하 3층, 지상 29~35층 7개동, 59~142㎡ 1221가구 규모의 대단지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