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각 30%가 친박의원…개각 키워드는 '장악과 소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17일 단행한 소폭개각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친박근혜계 현역 의원을 내각에 다수 포진시켰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청와대의 내각 장악력을 높이고 당과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현역 의원이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에 상대적으로 수월하다는 측면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집권3년차를 시작하며 경제활성화에 방점을 찍고 있는 박 대통령은 인사문제로 골든타임을 허비하는 일만은 막아야 한다는 생각도 했을 수 있다.

이날 신임 장관에 내정된 4명 중 2명이 친박계 현역 의원이다. 전날 임명된 이완구 국무총리까지 포함하면 3명이 추가되는 것이다. 이로써 총 19명으로 구성된 현 정부의 내각에서 현역 국회의원은 6명으로 늘어났으며 비율로는 30%를 넘었다.

내각 30%가 친박의원…개각 키워드는 '장악과 소통' 박근혜 대통령이 17일 오전 청와대에서 이완구 신임 국무총리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있다.(사진제공 : 청와대)
AD


이완구 총리, 최경환ㆍ황우여 부총리,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이 현역 의원이며 17일 개각에서 장관 후보자로 내정된 유기준, 유일호 의원까지 총 6명이다. 김희정 장관을 제외하고 5명은 친박계 의원으로 분류된다.

박 대통령이 구상하는 각종 경제활성화 정책은 대부분 국회의 입법 협조가 필수적이다. 당ㆍ정부ㆍ청와대 간 관계에 공을 들일 수밖에 없으며 대등하며 소통이 잘 되는 당정청 관계는 새로 구성된 여당 지도부가 강력히 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아울러 공공부문을 포함한 4대 분야 개혁에 속도를 내기 위해 관료 출신보다는 박 대통령과 손발이 잘 맞는 정치인들을 장관에 기용하려는 유인이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통합이나 탕평 등과는 거리가 먼 개각이란 여론은 부담이다. 청와대가 김기춘 비서실장의 퇴진을 공식화 한 것은 이를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윤두현 홍보수석은 17일 오후 개각 발표 후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이 김 실장의 사의를 수용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이 신임 비서실장을 찾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지만 청와대가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적은 없다. 개각 발표 후 이를 굳이 언급한 것은 친박계 의원을 중용한 이번 개각에 대한 비판 여론을 '실장 교체카드'로 상쇄시키겠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