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3대 전략’ 중점 추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산림청, 2017년까지 완전방제…재선충병 방제품질 높이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 개정, 재선충병 방제방법 다양화 및 실효성 높이기 추진, 올해 재발생비율 30% 아래로 낮춰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정부가 2017년까지 소나무재선충병을 모두 없애기 위해 3대 전략을 중점 추진한다.


산림청은 최근 전국으로 번지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의 올해 재발생비율을 30% 아래로 떨어뜨리고 2017년까지 모두 방제할 것이라고 12일 밝혔다.

이를 위해 산림청은 ▲재선충병 방제품질 높이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 개정 ▲재선충병 방제 방법 다양화 및 실효성 높이기 등 3대 전략을 중점적으로 펼친다.


첫째, 2017년까지 방제현장의 품질을 높여 매개충의 우화시기 이전인 4월말까지 모두 방제하고 재발을 막기 위해 꼼꼼하게 관리한다.

제선충병을 모두 없앤 사업장의 방제품질을 점검하는 지역담당관(산림청 및 지방청 80명), 재선충병 피해가 많은 9개 지방자치단체에 머물며 방제현장을 관리하는 책임담당관(산림청 18명)을 지정·배치하고 있다.


방제 부실사업장의 집중점검과 행정처리를 위한 권역별담당관(산림청 산림병해충과 7명), 지자체장 등 기관장 관심도를 높일 광역담당관(산림청 국장급 5명) 등으로 나눠 전국 700개 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로 사업이력관리를 한다.


둘째,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에 대해 빠르고 효율적 방제를 위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 개정 등 제도개선에도 나선다.


특별법 개정엔 ▲재선충병 발생의 빠른 예찰과 상시모니터링을 위한 국가단위 모니터링시스템 갖추기 ▲보전가치가 높은 소나무 숲과 반복적 피해지역 등에 대한 국가관리·감독기능 강화 ▲산지전용지에서 생기는 소나무류 처리 강화 ▲모두베기 등 효율적 방제방법의 빠른 조치방안 마련 등의 내용도 들어간다.


셋째, 재선충병 방제방법의 다양화와 실용화가 제대로 이뤄지게 현실에 안 맞는 품셈을 맞게 고치고 중요 문화재구역, 보존가치가 높은 소나무 숲 등 지역적 여건 및 상황을 반영한 차별화된 방제전략을 세워 현장에 쓰이도록 한다.


재선충병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소나무류의 불법이동과 찜질방, 화목사용농가 등 유통·취급업체 4만여 곳에 대한 일제단속을 4월, 10월 중 하고 산림안전사고예방에도 적극 나선다.


일본 연구사례에 따르면 방제를 하지 않고 소나무가 모두 없어지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걸린다는 연구결과가 있는 점을 감안, 재선충이 번져 3년 내 소나무가 사라질 것이란 잘못된 정보도 바로잡을 계획이다.


일본 삼림총합연구소 연구사례에 따르면 방제를 하지 않을 경우 소나무가 모두 말라죽기까지엔 70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규태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재선충병의 재발생비율을 꾸준히 낮추는 게 중요하다”며 “2017년까지 소나무재선충병을 관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완전방제하기 위해 방제품질 높이기와 더 이상 번지지 않게 온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