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원세훈 '대선개입' 실체 밝히고도 고개 못드는 검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항소심, 1심 뒤집고 선거법 위반 혐의 인정…수사 당시 檢亂사태 촉발한 수뇌부 책임론 도마에

원세훈 '대선개입' 실체 밝히고도 고개 못드는 검찰 원세훈 전 국정원장 [사진=아시아경제 DB]
AD


[아시아경제 이혜영, 박준용 기자] 사건 발생부터 1·2심 재판까지 숱한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실체가 법정에서 처음으로 인정됐다. 원세훈 전 국정원장(64)은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 됐지만 특별수사팀까지 꾸렸던 검찰 수뇌부는 자축은커녕 고개를 들지 못하는 신세가 됐다.

서울고법 형사6부(부장판사 김상환)는 9일 공직선거법 및 국정원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원 전 원장에게 징역 3년의 실형에 자격정지 3년을 선고하고 법정 구속했다.


원 전 원장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던 1심과는 정반대의 결과다. 2심 재판부는 원 전 원장이 특정 후보를 낙선시키거나 당선시킬 목적을 갖고 국정원 심리전단 활동을 지시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번 판결로 최근 대법원에서 무죄가 확정된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57)에 대한 사법부의 판단도 또 한번 도마에 오르게 됐다. 김 전 청장은 2012년 대선을 사흘 앞두고 "국정원의 대선개입 댓글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수사결과 자료를 뿌리게 한 혐의로 기소됐지만 결국 무죄를 선고받았다.


재판부는 수사가 부실한 상황에서 결과를 섣불리 발표한 점은 인정했지만 국정원 사건을 축소· 은폐해 선거에 개입하려 한 직접적인 증거가 없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에서 엇갈린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은 이를 수사한 검찰 내부에서도 '충돌'이 빚어졌었다. 당시 채동욱 검찰총장과 서울중앙지검 산하 특별수사팀(팀장 윤석열)은 원 전 원장에 선거법 위반 혐의를 적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반면 황교안 법무부 장관은 공개적으로 이를 반대하고 나섰다. 황 장관은 '법률가로서의 양심'까지 거론하며 원 전 원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에 반대의사를 표했고 결국 그는 불구속 기소됐다.


검찰 수뇌부 스스로 '독립성'을 해치는 발언이 쏟아져 나오면서 결국 '항명사태'로까지 이어졌다. 초유의 검란(檢亂) 파동이 일어난 뒤 채 전 총장은 결국 낙마했고 특별수사팀은 사실상 공중분해 됐다.


이번 판결로 특별수사팀은 그간의 수사에 대한 신뢰를 회복할 수 있게 된 반면 당시 선거법 혐의 적용에 반대했던 황 장관을 비롯한 검찰 수뇌부에 대한 비판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권은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 대한 검찰의 위증 혐의 관련 수사도 검찰의 계획대로 이뤄질지 주목된다.


일단 검찰은 이번 판결과 권 의원에 대한 위증 수사는 '별개의 건'이라며 일찌감치 선긋기를 하고 있다. 황 장관은 원 전 원장에 대한 항소심 선고가 나오기 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권 의원에 대해) 철저하게 수사를 지휘하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검찰 관계자는 "권 의원의 위증 혐의는 김 전 청장에 대한 법정 진술이 진실에 반하느냐의 문제이지 원 전 원장의 선거법 위반 여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며 "댓글사건 당시 경찰의 수사상황에 대해 진술한 부분을 보고 있기 때문에 이번 판결과는 별개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혜영 기자 itsme@asiae.co.kr
박준용 기자 juney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