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중소기업청이 올해부터 자금조달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해 2013년 기준 30%에 그친 창업 5년차의 생존율을 2017년까지 4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또 한중FTA 발효에 대비해 중국 수출 유망기업을 발굴해 집중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한정화 중소기업청장은 지난 23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한 '2015년 중소기업청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업무계획에 따르면 중기청은 올해 벤처펀드를 2조원 조성해 이 중 1조8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는 전년보다 10% 정도 늘어난 규모다. 또 벤처펀드의 과감하고 신속한 투자를 위해 운용사의 성과·관리보수 인센티브를 투자 수익률 및 속도와 연계할 방침이다.
또 3월부터 창업 3~7년차 기업을 대상으로 총 1100억원 규모의 창업도약 패키지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사업은 사업화 단계의 기업에 디자인 및 금형과 해외 R&D(연구·개발), 양산 자금 등을 일괄 지원한다.
창업 7년 이내 기업의 R&D투자 지원 자금도 총 1600억 원 규모로 지난해 1400억원보다 200억원 늘렸다. 또 1조4000억원에 달하는 창업기업지원자금과 투융자 복합금융 등 정책자금을 3% 안팎의 저리로 공급한다. 동시에 282개 창업보육센터 활용해 창업 3~7년차 기업에도 사업공간 및 연구장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원활한 재도전·재창업 환경의 조성에도 힘쓴다. 중기청은 우선 3월 중 연대보증 면제 프로그램을 2014년 2월 이후 창업한 기업에서 심사등급 우수 일반기업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또 5월에 재도전센터를 마련해 재기 기업인의 재창업 사업화를 지원하고 6월 중 '성실실패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재기 기업인이 신속하게 재기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부실징후 기업의 정상화를 위해 추진 중인 ‘구조개선 건강관리’를 다음달 중 ‘경영개선 건강관리’로 개선하고 은행권과 신·기보, 중소기업진흥공단이 기업의 자구노력을 전제로 정상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중기청은 다음달 중 금융위원회 등과 함께 ‘재도전 활성화 후속 보완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중FTA를 대비해 국내 기업의 중국 현지 시장 지원 정책도 다양하게 마련했다. 우선 중기청은 중국 현지 진출거점을 확충하기 위해 현재 1개인 현지 중소기업 지원센터를 2017년까지 7개로 늘리고 중국 내륙 주요 거점에 ‘중소기업 전용매장’을 신설하기로 했다. 또 중국 2·3선 도시 로컬유통기업과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중국 진출기업을 위한 투자 자본도 집중적으로 투입된다. 5000억원 규모의 중국 진출 지원 펀드를 조성하는 것은 물론 중국시장의 수요에 부합하는 기술혁신 및 제품개발을 지원하는 ‘중국 진출 중소기업 R&D'를 전년 100억원에서 200억원으로 확대한다. 또 중국 수출 유망 기업을 발굴해 현지 진출 및 경영전략을 수립 지원하는 '차이나 하이웨이' 지원 업체도 100개사로, 전년보다 40개 늘리기로 했다. 이밖에 중국 법령정보 시스템의 정보제공 범위를 현재 중앙법령에서 올해 지방법령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중기청은 현지 법무법인을 활용해 1대1 법령 컨설팅 지원사업을 신설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창조혁신 제품의 원활한 시장진입을 돕기 위해 오프라인에 방송, 인터넷, 모바일이 결합된 '통합 유통플랫폼'을 개통하기로 했다. 또 오는 6월 '공영 TV홈쇼핑'을 설립하고 기존 14개 정책매장을 활용한 '한국판 도큐핸즈'의 개설과 운영을 통해 창조제품 1만개 발굴도 추진한다.
소상공인의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지원책도 마련됐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골목·문화관광·글로벌 명품 등 3가지 유형의 특성화 시장을 향후 3년간 375개 육성한다. 전통시장 빈 점포를 활용한 '청년상인 인큐베이터' 설치, 고객의 편의시설과 주차장 확충 및 ICT 등 창조성 접목도 추진키로 했다.
한정화 중소기업청장은 "업무계획이 원활하게 추진될 경우 2017년까지 창업 5년차 생존율을 10%p(30 → 40%) 높이고 창업환경 세계은행 순위도 글로벌 톱 10에 진입해 미국 등 선진국 수준의 벤처·창업 생태계에 접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청장은 또 "중소·중견기업 수출비중은 34%에서 37%로 중견기업 수도 2850개에서 3500개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업무계획이 차질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기재부, 금융위 등 관계부처와의 협업 체계를 더욱 탄탄하게 다져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