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 빅딜처럼…'재계 구조개혁' 본격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8초

최경환 경제부총리 "과감한 구조개혁" 발언 이후 속도 낼 전망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 조강욱 기자, 황준호 기자, 김은별 기자]지난해 부터 시작된 재계의 구조개혁이 올해 본격화 될 전망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1일 경제인들과의 만남에서 "과감한 구조개혁, 아이디어로 주력 분야 역량을 강화하고 관련 기업과의 융합, 협업, 인수합병(M&A)를 통해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재계의 구조개혁에 힘을 실어줬다.

최 부총리의 이같은 발언은 지난해부터 삼성그룹을 비롯한 주요 그룹사들이 위기를 직감하고 나선 사업 재정비 등의 구조개혁에 가속도를 붙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계열사 간 인수합병(M&A)을 통해 밑그림을 다시 그리고 한화그룹과의 화학 계열사 빅딜을 통해 새판을 짠 삼성그룹은 전자와 바이오 등 핵심 사업에 집중할 방침이다. 모든 분야에서 돈이 되면 다하겠다던 종전 '재벌'의 사고방식으로는 장기 저성장 시대를 이겨낼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삼성SDS의 삼성SNS 흡수합병, 삼성SDI의 제일모직 소재 부문 합병 등 8차례의 큰 사업 및 지배구조 재편 작업에 이어 비슷한 계열사를 묶어 경쟁력을 높이고 비주력 사업의 경우 과감하게 매각해 핵심사업에 매진하는 구조개혁을 올해도 지속할 예정이다.


삼성그룹의 4개사를 한꺼번에 사들이는 한화는 올해 유화 산업과 방산 분야에서 입지를 강화하는 데 주력한다.


국내 1위는 물론 록히드마틴, 바스프 등과 같은 세계 1위 회사와 경쟁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실제 일본도 1990년대부터 석유화학업계의 수평적 재편을 통해 난립하던 업체를 정리하고 석유화학산업의 체질을 개선하며 오늘날 화학강국으로 군림하고 있다.


위기에 빠진 해운업의 경우 현대그룹과 한진그룹 역시 지난해 자구안을 수립해 자산 및 자회사 매각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며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당장의 위기는 넘겼지만 앞날이 밝진 않다. 머스크 등 대형 선사들과 같이 연료절감형 대형 선박 구매 등 투자 자체가 어렵다. 물동량 확보가 되지 않아 선대 유지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이처럼 지난해 재계가 스스로 구조개혁을 통해 경쟁력을 찾아나섰지만 이에 따른 통과의례도 만만치 않다. 삼성그룹의 경우 매각 대상 4개사 직원들의 거센 반대로 추가 구조개혁은 잠시 미루고 있다.


삼성테크윈과 삼성탈레스, 삼성토탈, 삼성종합화학 등 4개 회사 근로자 400여명은 21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앞에 모여 매각 철회를 요구했다. 4개사 공동 시위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화는 최근 삼성 4개사에 대한 실사작업에 돌입했지만 노조와의 물리적 충돌 등을 우려해 현장 실사는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한화의 경우 공정위의 결합 심사도 골칫거리다. 삼성종합화학, 삼성토탈 등 화학 계열 2사를 인수할 경우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점유율이 55%에 달하는 등 일부 품목이 공정거래법상 독과점 판단 기준을 상회하기 때문이다. 다만 삼성ㆍ한화 간 빅딜로 독과점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EVA의 경우 국내 공장 생산량 가운데 70% 정도가 수출용으로 제조되고 있다고 한화 측은 설명했다.


만약 공정위 결합 승인이나 노조 반발 등이 변수로 작용해 한화그룹의 삼성 계열회사 인수가 지연되거나 차질을 빚을 경우 국내 기업들의 자발적인 빅딜 추진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해운 업계는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없을 경우 또 다시 고사 위기에 빠질 수 밖에 없다. 중국이나 일본 발전회사들이 자국 선사들에게만 연료 운송을 맡기며 자국 사업을 보호하는 등의 조치는 우리 정부가 참고해야 한다는 것이 해운업계의 목소리다.


재계 관계자는 "최근 재계에서 벌어지고 구조개혁의 성공 여부는 전체 산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정부가 직접적으로 기업을 지원하는 시대는 이미 끝났지만 산업 구조개혁의 활성화를 위해 제도를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명진규 기자 aeon@asiae.co.kr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