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30여년 만에 막 내리는 '중국 보너스'

시계아이콘00분 59초 소요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7.4%를 기록했다고 중국 국가통계국이 어제 밝혔다. 시장에서는 일반적인 예상치보다 0.1%포인트 정도 높다고 하여 주가가 상승하는 등 안도하는 분위기도 보였다. 하지만 2010년 10.4% 기록 이후 4년째 하락세다. 길게 보면 1989년 톈안먼 시위 및 유혈진압 사건의 여파로 그해 4.1%에 이어 이듬해 3.8%를 기록한 후 24년 만의 최저치다.


게다가 앞으로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중국 정부는 올해 성장률 목표치를 아직 발표하지 않았으나 7%선은 지킨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IMF)은 어제 발표한 수정전망에서 중국 성장률이 올해 6.8%에 이어 내년에는 6.3%까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이 1978년 '개혁개방'의 기치를 내걸고 시장경제로 이행하기 시작한 이래 유지해온 고속성장이 사실상 막을 내리는 양상이다.

중국 경제는 1970년대 말 2차 오일쇼크, 1990년대 말 아시아 금융위기, 2000년대 말 글로벌 금융위기 등 세 차례 성장감속을 겪었으나 그때마다 몇 년 뒤엔 두 자릿수 성장률을 회복했다. 그같은 중국의 고성장은 우리나라의 수출 증가에 일등공신이었다. 이는 1992년 한중수교 이후 불과 20여년 만에 중국으로의 수출액이 총 수출액의 4분의 1에 이르게 된 데서 확인된다.


그러나 이젠 상황이 과거와 다르다. 중국의 이번 성장감속은 일시적 대외요인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구조적 대내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 결과로 봐야 한다. 저임금 등 저렴한 생산원가의 이점은 줄어든 반면 내수 기반의 국내 선순환 경제구조는 아직 구축되지 않았다. 게다가 고속성장기의 후유증인 부실과 거품이 곳곳에 남아있다.

중국의 고속성장이 끝났다면 우리로선 '중국 보너스'를 더 이상 누릴 수 없게 된 것이다. 오히려 '중국 쇼크'를 걱정해야 할 판이다. 중국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우리 경제성장률이 0.4%포인트 떨어진다는 분석도 있다. 경제의 중국 의존도가 급속하게 높아진 탓에 우리가 떠안게 된 위험들을 잘 살펴 대응장치를 갖춰야 한다. 가공무역과 중간재 수출을 넘어 앞으로 커질 중국 내수시장을 직접 공략하는 방식의 수출전략 전환도 필요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