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업형 임대주택, 62만원 월세 가능할까?

시계아이콘01분 4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월세, 보증금 따라 천차만별 … 지역별 거래 고려안해 실효성 의문
물량 부족한 동탄·인천 청라는 90만원 이상 … 책정금액 "글쎄요"


기업형 임대주택, 62만원 월세 가능할까?
AD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여긴 지금 전세도 없어서 월세 매물도 가격이 오르는 중인데, 기업형 임대주택이 그 정도면 진짜 싼 거예요. 그런데 2~3년 후 실제 입주할 때 쯤되면 그 정도 임대료로 나올 수 있을까요? 기업들도 다 수익내자고 하는 사업인데…."(동탄 T공인 대표)


정부가 중산층 주거 안정을 목표로 기업형 임대주택 육성 정책을 내놓았지만 예상 임대료가 과연 현실성이 있느냐를 놓고 의견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중위 전세가격에 전월세 전환율 6%를 적용, 전용면적 84㎡를 기준으로 수도권은 보증금 6200만원에 월세 62만원(순수 월세 93만원), 서울은 보증금 8100만원에 월세 81만원(순수 월세 122만원) 등을 제시했지만 지역에 따라 이보다 크게 높아질 수도, 크게 낮아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국토부 실거래가를 집계해 수도권 주요 아파트의 실제 월세 가격을 살펴봤다. 이번 정책에 따라 기업형 임대주택 대부분이 수도권 택지지구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등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서울에서 출퇴근 시간이 1시간 이내를 기대할 수 있는 2기 신도시를 위주로 비교했다.


기업형 임대주택, 62만원 월세 가능할까?

우선 월세의 경우 보증금이 얼마인가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지난해 10~11월 신도시 전용면적 84㎡ 규모의 아파트는 지역에 따라 보증금은 2000만~2억5000만원까지 편차가 크고, 이에 따른 월세 또한 20만~120만원까지 벌어졌다.


다만 월세 가격이 집값과 전셋값에 영향을 받는 만큼 상대적으로 집값이 싼 경기도 파주와 김포 등의 임대료가 낮은 편이었다. 반면 서울 접근성이 좋은 남양주와 화성 통탄신도시의 경우 보증금을 높이고 월세 부담을 줄인 보증부 월세(반전세) 거래가 많았다. 남양주의 경우 국토부의 기업형 임대주택 임대료 기준과 딱 맞아떨어지는 거래도 1건 있었다.


만일 이들 지역에 기업형 임대주택이 들어서고 국토부가 제시한 임대료 수준으로 공급된다면 경쟁력이 있느냐의 문제 또한 마찬가지다. 보증금 6200만원, 월세 62만원은 전세로 환산할 경우 1억8500만원 수준이다. 현재 전세가가 이보다 높게 형성된 지역에서는 기업형 임대주택이 충분히 경쟁력 있겠지만 반대의 경우라면 임대주택이 오히려 비싸지는 결과가 된다.


동탄2신도시의 W공인 관계자는 "동탄신도시의 거래물량이 부족하고 전세가격이 오른 점을 감안할 때 84㎡ 아파트라면 임대보증금 1억원에 월세는 90만원 이상은 돼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근 T공인 대표는 "여기 시세로 볼 때 전용 84㎡(일반 35평) 전셋값은 2억5000만원 선"이라며 "정부가 제시한 임대료 수준으로 본다면 24평형(60㎡ 이하)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 청라지구 S공인 대표는 "기반시설이 갖춰지고 교통도 나아지면서 지난해부터 전월세 물량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전용 84㎡ 기준으로 전세가가 2억7000만원 이상이지만 매물이 없고, 월세는 보증금 3000만원에 월 90만~100만원으로 가격대가 형성돼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변수가 있다. 무엇보다 여전히 전세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을 월세로 유인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많아서다.


김포 한강신도시 K공인 대표는 "서울에서 이사오는 가구의 상당수가 서울의 전셋값은 부담되고 월세를 내는 것도 마땅치 않아 외곽으로 옮겨오는 건데, 기업형 임대주택 수요가 많이 생겨날지는 자신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기업형 민간임대 사업자에 가능한 한 많은 혜택을 주고 공급을 늘리겠다는 정책안만 내놓은 상황에서 제시된 임대료의 적정성을 논하는 것은 성급하다는 지적이다. 자칫 낮은 임대료에 집착할 경우 품질이 낮은 주택만 대거 양산될 우려도 있다는 설명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토지비용이나 건축비 등 공급비용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며 "정부의 제시 임대료 수준을 맞출 경우 인프라나 교통이 열악한 외곽에서 빈집이 양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