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주요 사업 끝낸 금융 공기관, 정체성 찾기 고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금융 공공기관들이 새로운 정체성 찾기에 몰두하고 있다. 지난해 주요 사업이 사실상 종료되면서 더 이상 기존의 이미지를 유지할 수 없게 된데 따른 것이다. 이들은 업무 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두각을 드러내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국민행복기금을 통한 채무조정이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업무 방향성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캠코는 2013년 4월 국민행복기금을 전담하면서 '서민금융' 활동을 강화해 왔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조성된 부실채권정리기금이 2012년 11월 종료된데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08년 조성된 구조조정기금 역시 마무리단계에 접어들면서 기관을 대표할 사업이 없어진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올 하반기 서민금융진흥원이 출범하면 이마저도 총괄기구로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국민행복기금에 대한 위탁 경영은 유지하지만 채권 매입 등 주요 업무가 거의 마무리되고 채무자에 대한 관리업무만 남은 상태다.

이에 캠코는 서민금융 다음의 정체성을 본연의 업무인 '국가ㆍ공공자산 관리'에서 찾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부산 이전을 앞두고 공공사업본부를 설치하고 공공자산관리부를 신설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캠코 관계자는 "공적자산 관리기관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예금보험공사도 새로운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2011년 이후 '저축은행 구조조정'으로 정체성을 드러낸 부실 저축은행 매각 작업은 지난해 러시앤캐시가 예나래 저축은행 및 예주 저축은행의 주식을 취득하면서 사실상 마무리된 상태다.


예보는 본연의 업무에서 정체성을 찾은 캠코와 달리 저축은행 구조조정 업무 경험을 살려 업무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김주현 예보 사장은 "현재처럼 예금만 보호하기보다는 향후 폭 넓은 금융 소비자 보호를 위해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며 "무엇보다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은 부실정리기관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올 초 정책금융공사와 통합 출범한 KDB산업은행은 정책금융기관의 '맏형' 자리를 선점하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우선 조직개편을 통해 기술금융, 구조조정 업무를 확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중장기적인 비전과 독자적인 업무영역 마련에도 고심하고 있다.


금융공공기관 관계자는 "정부가 환경변화에 따라 불필요해지거나 중복된 기능은 과감히 통폐합하는 2단계 공공기관 정상화를 추진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위기의식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체성 재확립에 나서는 공공기관은 앞으로 더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