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예상…향후 추가 인하 시사할지 주목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올해 첫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 개최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금융권의 시선이 한국은행에 집중되고 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현 연 2.0%로 묶을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하다. 다만, 동결을 하더라도 유가 하락으로 인해 더욱 불거지고 있는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이주열 한은 총재의 언급이나 올해 경제전망치 발표 등을 통해 추가 금리 인하를 시사할 지에 더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첫 금통위의 기준금리 결정은 동결일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해 하반기 두 차례 금리를 내려 이미 최저 수준이기 때문에 그 효과를 좀 더 검토한 뒤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정할 것으로 보인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채권 관련 종사자 111명 중 96.4%가 이번 달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고 답했다.
국내 경제 회복의 모멘텀이 미약하지만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수밖에 없는 가장 큰 배경으로는 가계부채 문제가 꼽히고 있다.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은 지난해 11월 7조5000억원이 증가했다. 사상 최대 폭으로 증가한 10월의 7조8000억원을 더하면 두 달 새 15조원 이상이 늘어난 셈이다. 1년 전인 2013년 11월과 비교하면 무려 57조410억원이 증가했다. 이 총재도 지난달 금리 결정 뒤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부채 문제는 소비를 제약하는 수준으로 가고 있다"고 우려를 표시한 바 있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도 "지금 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소비 여력이나 심리 개선의 효과보다는 가계부채를 늘리는 방향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높다"며 "금리 인하를 통해 자산 버블을 유도하는 정책은 실효성이 낮고, 통화정책을 통한 대응 보다는 정부가 최근에 강조한 구조개혁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선은 한은이 올해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지속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향후 추가 인하 필요성을 시사할지 여부에 쏠리고 있다. 한은은 15일 금리 결정 뒤 발표하는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3.9%에서 하향 조정할 예정이다. 담뱃값 인상분을 제외하고 2.4%로 봤던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도 2.0% 내외로 내릴 것으로 보인다. 그 만큼 경기가 예상보다 좋지 않고 저물가가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이는 향후 추가로 금리 인하를 결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도 성장률 하락과 디플레이션 추세 등을 이유로 한은이 올해 1분기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외적인 요인을 고려하면 지금 금리를 인하해 향후 벌어질지 모르는 상황에 대한 정책적인 여력을 축소시키는 단계를 거칠 필요는 없다"면서도 "몇 달 더 지켜보고 지속적으로 경기가 부진할 때는 한은이 통화정책의 운신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디플레이션을 놓고는 지속적인 논쟁이 예상된다. 이 총재는 디플레이션 우려와 이에 따른 금리 인하 주장에 대해 "3%의 성장과 1% 물가를 디플레이션이라고 할 수 없고 여기에 중앙은행이 나서야 한다는 주장은 과하다"고 반박한 바 있다. 김 연구위원도 "가계부채가 근본적으로 디플레이션 논쟁의 가장 큰 배경인데 이 부분을 개선할 여지를 마련하지 못하고 디플레이션이 올지 모르니깐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논리는 근거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