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포통장 제로, '쌍끌이 전략' 필요할 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이장현 기자] "대포통장 근절하자는 데 이견은 없죠. 하지만 일선에서 겪는 애로점에도 귀를 많이 귀울여주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9일 시중은행 수신ㆍ개인고객 담당 부행장들을 소집했다. 대포통장 근절을 위해 내부통제를 철저히 하라는 게 소집 이유다. 지난해 전자금융사기에 대한 범정부적인 근절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포통장이 여전히 늘어 체면을 구긴 금감원이 시중은행에 적극적인 대응을 당부한 셈이다. 참석했던 부행장들은 취지에는 100% 공감했지만 현장에서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피싱사기 등 각종 금융사기의 최종 종착지인 대포통장은 지난해 4만4075개로 전년보다 15% 증가했다. 이를 통한 금융사기 규모도 재작년 2241억원에서 지난해 1∼10월 2403억원으로 점점 늘고 있다. 그동안 대포통장의 온상으로 불렸던 농ㆍ수협ㆍ우체국 등 상호금융의 대포통장 점유율이 10%대로 대폭 줄고 KB국민ㆍ신한ㆍ우리ㆍ하나은행 등 대형 시중은행 비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자 금감원에서도 이들 시중은행에 특단의 대책을 요구했다.


상호금융은 대포통장의 온상에서 어느새 감축 모범사례로 탈바꿈했다. 농ㆍ수협의 경우 금융사기대응 본부 조직이 각 조합에 직접 찾아가 교육을 하는 한편, 거주지와 멀리 떨어진 조합에서 거래를 개설할 때 의심거래를 확인하는 등 자체 내부통제를 강화했다. 우체국은 고객이 신규거래를 트더라도 15일 후에 현금카드를 발급해주는 등 자구책을 시행했다. 각 시중은행도 상호금융이 시행한 대책을 참고해 내부통제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그러나 은행들이 제각각 모든 금융사기의 피해사례를 분석하고 대응하는데는 한계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그래서 금융당국이 금융사에 종합적인 대포통장 근절 컨설팅을 제공하는 것을 검토해볼만 하다. 지난해 대형 금융사고 피해자들의 고통이 컸던 만큼 올해를 '대포통장 제로 원년'으로 선포하고 금융사와 감독당국이 다각적인 공동대처방안을 세우는 노력도 필요해 보인다.






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