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대통령 회견, 듣고 싶은 말 듣게 되기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12일 신년 기자회견을 한다. 박 대통령이 내외신 기자들과 문답을 주고받는 회견은 취임 이후 두 번째, 지난해 1월 이후 1년 만이다. 그 사이 대국민 담화문이나 국무회의 발언을 통해 국정현안에 대한 견해를 밝혔지만 일방적 메시지 전달에 그쳤다.


작금의 대내외 상황은 엄중하다. 남북 문제는 양측이 대화 재개 입장을 밝힌 가운데 소니 해킹 사건에 대한 미국의 대북 제재로 꼬여 있다. 한일관계는 양국 정상이 취임 2년이 되도록 단독회담을 못할 정도로 냉각돼 있다. 경제 상황은 호전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양극화가 심화되고 빈부격차가 확대돼 갖가지 사회문제가 분출하고 있다. 지난해 말 불거진 비선 실세의 국정개입 의혹은 검찰수사 결과가 발표됐는데도 잦아들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뤄지는 모처럼의 신년 회견인 만큼 집권 3년차 국정운영 구상을 넘어서 국민의 궁금증을 풀어주고 가슴에 와닿는 의미있는 회견이 돼야 할 것이다. 국민은 경제대책 외에도 남북 및 한일관계 개선, 청와대의 인적 쇄신 및 국정운영 방식 혁신과 관련된 대통령의 진솔한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


광복 및 분단 70주년인 올해는 남북관계의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는 호기다. 박 대통령이 먼저 알맹이 있는 대북 제의를 통해 대화 분위기를 이끌어 내기 바란다. 인적 쇄신은 비리 등 문제가 있는 인물에 대한 문책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국민 다수가 미심쩍어하고 의혹을 품는다면 관련 조직과 인적 구성에 대한 수술을 가함으로써 분위기를 일신할 필요가 있다. 검찰수사 결과 문제가 없다는데 왜 바꾸느냐는 식은 곤란하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경제살리기를 최우선해 국정을 펴는 행보를 보여왔다. 경제 상황이 어려운만큼 대통령이 경제활성화 대책을 강조하는 것은 필요하다. 그렇더라도 세부적인 것들은 경제부총리와 장관들이 책임지고 하도록 맡기는 것이 옳다. 대통령이 미주알고주알 챙기면 내각이 지시만 따를 뿐 능동적으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대통령 회견은 미리 조율한 듯한 질의답변이 아니라 국민이 궁금해하는 사안을 가감없이 자유롭게 묻고 답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 대통령이 하고 싶은 말만 해선 곤란하다. 국민이 듣고 싶어 하는 이야기를 들려줄 책무가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