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최근 영화 '국제시장'의 열풍이 거세다. 지난해 말 부터 시작된 국제시장 열풍은 해를 넘어서도 그칠지 모른다.
국제시장 열풍이 주목받는 것은 단순 관람객 숫자 때문만은 아니다. 국제시장이 영화를 뛰어넘어 문화와 경제의 융합을 통한 창조경제 모델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5일 '2015 경제계 신년 인사회'에서 영화 국제시장을 창조경제 성공 모델로 들며 "문화와 경제의 융합을 통해 위축된 마음을 털어 버리고 용기와 활기를 되찾는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것도 중요하다"고 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영화 국제시장 성공 사례에서 볼수 있듯이 출범 두돌을 맞은 창조경제가 이제 본 궤도에 오르고 있다. 2013년 공식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최우선 국정운영 전략으로 창조경제를 내세웠다.
그간 2년 동안 정부가 창조경제 알리기 등 기반 다지기에 나섰다면, 두돌을 전환점으로 기업들이 바통을 이어받아 성과를 실현하고 있다.
◆창조경제의 모호함을 깨트려라= 박근혜정부가 창조경제를 처음 주창할 당시 언론이나 재계는 창조경제라는 용어를 의아하게 받아들였다. 이명박 전 정부의 모토인 '지식경제'에서 용어만 바꾼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창조경제는 생소하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이다.
하지만 창조경제는 생소한 것이 아니다. 창조경제라는 용어를 처음 쓴 영국의 경영전략가인 존 호킨스(John Howkins)는 2001년 펴낸 책 'The Creative Economy'에서 "창조경제는 새로운 아이디어, 즉 창의력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유통업, 엔터테인먼트산업 등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통산업인 제조업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산업들도 창의력만 더해진다면 창조경제 산업이라는 얘기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창조산업은 무에서 유를 얻는 것이 아니라 기존 산업을 새로운 방식으로 조합하는 것이다.
이 같은 개념의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정부는 2년 동안 국민들과 기업들에게 창조경제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데 노력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지난해 11월 개최한 '2014 창조경제박람회'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미래창조과학부를 포함한 21개 부처와 11개의 경제단체가 공동 주최한 '2014 창조경제 박람회'는 창조경제가 우리의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장을 꾸미면서 많은 사람들로 북적였다.
창조경제 사례들로 꾸며놓은 '우리집', 창조경제의 사례가 집약된 병원과 시장, 만화가게, 은행 등 일상에서 쉽게 만나는 곳에서도 창조경제의 성과들이 녹아있었다.
미래부 관계자는 "창조경제의 미래는 '왜 그럴까?'라는 단순한 물음에서 시작한다"며 "우리가 흔히 먹고, 자고, 입고 하는 실생활 제품들이 이런 궁금증과 만나 아이디어 제품이나 기술이 새롭게 탄생하고 새로운 산업을 만들고 일자리를 만들며 좀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제는 기업이 나선다= 정부가 창조경제 활성화에 나선 것은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인 고도의 산업화 과정이 사실상 멈추면서 구조적 장기침체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한국 경제 재도약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에 창조경제 활성화가 시급해진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방자치단체를 비롯 민간 기업과 손잡고 전국 17여개 지역에 창조경제혁신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는 삼성을 비롯 현대자동차, SK, 포스코, 효성, 롯데 등 국내 대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대기업이 지자체와 1:1 전담 지원체계를 구축해 대구-삼성, 대전-SK, 전북-효성, 경북-삼성, 경북 포항-포스코에 혁신센터가 개소됐다. 이 중 대구센터 200억원, 대전센터 450억원, 전북센터 300억원, 경북센터 400억원의 펀드가 조성됐다. 올해는 광주-현대자동차, 울산-현대중공업, 부산-롯데 등에도 혁신센터가 개소될 예정이다.
재계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지역 혁신센터 개소에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 사업 추진에도 탄력을 받고 있다"며 "창조경제가 전국적으로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201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지역별 대학ㆍ유관기관ㆍ혁신지원기관 간 공동프로젝트 추진 등 연계방안 마련을 통해 성과 확대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기업의 경험과 역량을 기반으로 지역 벤처ㆍ창업 지원 강화 방안과 함께 대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유망 벤처 해외진출 확대도 추진한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