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금리 인상으로 자본유출이 일어나더라도 현재 우리나라 외화유동성은 충분한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7일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본유출 규모 추계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현재 우리나라가 확보한 외화유동성은 4500억 달러를 상회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봤다.
이는 약 3600억달러의 외환보유액과 함께 348억달러의 다자간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M) 자금, 약 580억달러의 한·중 통화스와프자금 등을 포함해 산출한 것이다.
위기대응이 필요한 외화유동성 규모 산출에는 3개월간 수입액(1330억달러), 외채 상환(약1320억달러), 외국인 주식자금의 30%(약 1250억달러) 등을 넣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이에 비해 국제기준에 의해 위기대응이 필요한 외화유동성 규모는 약 3900억달러"라고 예상했다.
보고서는 "그러나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유출이 일어나면 환율 상승과 국내 자산가격 하락에 의해 자본유출이 지속되는 2차 효과, 신흥국 위기에 의한 3차효과도 나타날 수 있고 특히 한국은 자본유출입 변동성이 큰 나라"라면서 "이를 감안하면 자본유출 규모가 예상한 수준보다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국내 금융시장의 위축, 가격변동성 확대 등 부작용은 우려되는 만큼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철저한 대비는 요구된다"고 말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