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정부가 우리 경제 실정에 맞는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정책'을 마련, 3년 안에 히든챔피언을 100개사 이상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30일 여의도 수출입은행에서 열린 제3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계획을 밝히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중소·중견기업을 키우겠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기존의 기업 규모에 기초한 '중소→중견→대기업'이라는 성장 패러다임을 벗어나 글로벌 경쟁력이라는 질적 지표를 제시하고, 각 정부기관의 히든챔피언 지원 시책들을 통합적으로 연계·조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한국형 히든챔피언의 정의부터 새롭게 마련했다. 헤르만 지몬이 제시한 기존 '히든챔피언' 기준은 지나친 일반화와 단순화로 기업에 객관적 적용이 힘들다는 이유다.
이에 따라 ▲세계시장 점유율 1~3위 ▲3년 평균 매출 100억원 이상 중소·중견기업 ▲매출액대비 R&D 비중 3년 평균 2%이상 ▲매출액대비 수출 비중 3년 평균 20%이상 ▲매출액대비 인건비 비중 업종평균 이상 ▲국내 특정 대기업 납품비중 50% 미만 등을 새로운 한국형 히든챔피언의 정의로 제시했다. 이 기준을 적용할 경우 현재 한국형 히든챔피언이라 불릴 수 있는 기업은 총 63개다.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을 위한 지원 체계도 통합·정리했다. 우선 히든챔피언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중기청의 '글로벌 강소기업'과 '월드클래스 300', 산업통상자원부의 '글로벌 전문기업' 제도 등 3개를 내년부터 통합해 공고한다.
또 각 사업을 글로벌 역량에 따라 글로벌 도약과 성장의 2단계로 재편하고, 성장단계별로 연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쿼터제도를 도입한다.
이에 따라 매출 500억원 이하 기업은 글로벌 강소기업 사업을 통해, 매출 500억원~1조원 사이의 기업은 월드클래스 300사업과 글로벌 전문기업 사업을 통해 육성된다.
또 R&D 지원도 '도약' 단계 기업은 단기 상용화와 제품혁신에 초점을 두는 반면 '성장' 단계 기업은 중장기 핵심기술 확보를 중심으로 지원하는 등 지원의 내용도 단계별로 달라진다.
중장기 R&D 과제를 수행하는 중견기업이 변화된 시장환경과 기술흐름을 반영, 개발 목표를 조정할 수 있는 '무빙 타겟제'도 도입한다.
지역별로 히든챔피언 후보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내년 100억을 투입해 지자체와 지역혁신 협의체를 중심으로 R&D등을 지원하는 '지역형 강소기업 경쟁력 강화사업'을 추진한다.
해외시장 개척 부문에서도 글로벌 도약·성장 단계 기업을 구분, 도약단계는 해외시장 개척을, 성장단계는 세계시장 점유율 제고를 목표로 지원한다.
히든챔피언 후보기업은 모두 '글로벌 역량 진단 프로그램'에 참여가 의무화되며, 해외규격 인증시 획득비용 이외에 갱신 비용(1회)까지 추가 지원한다.
1조8000억원 규모의 M&A정책펀드를 활용해 독일·일본 등 우량 기술기업의 M&A 집중 지원하고, 중견기업 M&A 지원센터를 설립한다.
히든챔피언 기업들을 위해 기술·해외마케팅 분야 전문인력도 육성한다.
일단 '기업맞춤형 계약학과' 제도를 도입, 중소·중견기업 취업을 조건으로 이공계 석사 학위 취득과 전문연구요원 복무를 동시 지원한다.
'한국 히든챔피언 채용박람회'를 열고 히든챔피언 후보기업과 지역대학·마이스터고간 '1사 1교'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한편 인력의 장기재직 유도를 위해 중소기업 핵심인력 성과보상기금 가입을 확대한다.
올해 1300여개 수준인 '일학습 병행제 참여기업'을 오는 2017년까지 1만개로 확대하고 스위스식 도제수업이 가능한 한국형 직업학교를 내년부터 시범 도입한다.
정부와 유관기관, 업계가 모두 참여해 국내 히든챔피언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민관합동 히든챔피언 육성·지원 협의체를 구성, 기관간 정보를 공유하고 연계지원을 강화한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히든챔피언 후보기업 지원을 올해 634개에서 오는 2017년까지 1150개로 대폭 늘리고, 현재 63개로 추정되는 한국형 히든챔피언 기업을 2017년까지 100개 수준으로 늘릴 예정이다.
한정화 중소기업청장은 "한국형 히든챔피언을 발굴하고 후보기업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해 국가대표급 중소·중견기업들이 다양하게 배출되길 기대한다"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히든챔피언 기업과 후보기업들이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중추역할과 함께 중소·중견기업들에게 기업 성장사다리의 최상위 성장 롤 모델이 되어달라"고 당부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