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난방비 논란 아파트, 수도권보다 지방에 더 많아

시계아이콘01분 2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일명 '김부선 아파트'와 같은 난방비 분쟁의 여지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난방비 비리 논란의 핵심이 되는 '중앙난방' 방식을 채택하는 아파트가 수도권보다 지방에 더 많이 공급됐기 때문이다.


20일 부동산114(www.r114.com)에 따르면 김부선 씨의 아파트와 같은 난방비 분쟁이 많은 중앙난방 아파트는 수도권보다 지방에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앙난방 아파트는 입주한지 20년 이상이 된 노후 단지에 많아 열량계 고장에 따른 난방비 오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아파트 난방비는 동일한 난방 방식이더라도 단지의 동수와 세대수, 층수, 준공연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편차가 생길 수 있어 단순하게 특정 방식이 더 비싸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중앙난방, 개별난방, 지역난방 순서로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중앙난방 방식은 아파트 단지 내 설치된 중앙기계실에서 난방과 온수를 각 세대마다 정해진 시간에 일괄적으로 공급하지만 개별난방은 각 세대마다 보일러를 설치해 난방과 온수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현재 전국 재고아파트 총 847만가구, 2만1379개 단지 가운데 중앙난방을 사용하는 아파트는 총 78만가구, 1172개 단지로로 전체 가구수의 9.3%로 파악되고 있다.


중앙난방 아파트는 지난 1990~1996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공급됐지만 세대별로 난방비를 줄일 수 있는 개별난방 방식을 더 선호하면서 2000년 이후 거의 사라졌다. 이에 따라 중앙난방 방식 공급비율 또한 1990년에 30%까지 높아졌지만 이후 점차 비율이 낮아지면서 지난 2002년에는 2%에 불과했다.


지역별로 수도권에서 중앙난방을 사용하는 아파트는 32만가구, 458개 단지인 7.4%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반면 지방은 수도권보다 약 14만가구 더 많은 46만가구, 714개 단지가 중앙난방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가구수의 11.4%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대전 33.6%, 충북 14.4%, 경북 12.7%, 서울 12.4%, 강원 12.4%, 대구 11.8%, 부산 11.1%, 광주 10.6% 순서였다.


지방은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다소 소외되고 있다. 단위당 난방비 수준은 기름(휘발유), LPG, 도시가스, 열병합 순으로 높은 편인데 중앙난방의 연료는 도시가스가 66.6%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에너지 단가가 비싼 LPG와 기름 사용비율도 지방은 13.6%로 다소 높은 반면 수도권은 0.6%로 낮은 공급비율을 나타냈다.


이와는 별개로 지역난방 공급비율은 커지고 있다. 지역난방은 아파트 단지가 아닌 대규모 에너지 생산시설에서 열 배관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 전국 지역난방 아파트 공급비율은 2007년까지 26%를 차지했으나 2008년부터는 34~39%대까지 상승했다.


이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역난방 방식을 적용한 수도권 내 신도시와 택지지구 공급이 활발히 이뤄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현재 개별난방과 지역난방 아파트 공급은 연간 65대 35 비율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미윤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아파트를 구매하기에 앞서 난방방식의 유형과 난방비 내역, 기계 하자를 꼼꼼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중앙난방 아파트 공급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방의 대전과 충북 지역에서는 난방비가 체계적으로 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거주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