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래부 "100억 규모 '융합연구단' 연내 2~4개 출범"

시계아이콘01분 2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정부출연연구기관 ‘제2의 출발’…개방형 협력 생태계로 탈바꿈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유망 기술분야의 국가적 연구과제를 전담하는 예산 100억원 규모의 ‘융합연구단’이 연내 2~4개로 출범한다. 정부는 산하 과학기술 연구기관의 역할을 전면 재조정하는 한편 미래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실질적 융합연구 역량을 대폭 강화키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연구회)는 30일 개최된 이사회에서 미래부 소관 24개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에 대한 기관별 임무 정립안과 기관간 융합연구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출연연별 임무 정립은 우선 각 기관별로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초·미래선도형, 공공·인프라형, 산업화형에 대한 투자비중을 맞춤형으로 구성해 기관 체질 개선을 도모한다. 예전 ‘기초기술연구회’ 소관 기관들(KIST 등 8개)은 개발기술의 시장 영역 조기 확산을 위해 산업화 유형 사업을 강화하고, 전 ‘산업기술연구회’ 소관기관들(ETRI 등 10개)은 장기적·실질적인 기관 역량 강화를 위해 기초·미래선도형 연구를 확대한다. 재난·위험 대비, 식품안전 등 안전 관련 기관은 공공·인프라형 연구를 강화한다. 다만 재원이 한정된 만큼 민간 역량이 우수한 분야나 단순 서비스 제공 분야 등은 투자를 축소해 핵심역량을 집중하도록 했다..


또 연구성과 극대화를 위해 양적 지표를 질적 성과지표로 전환하고 연도별 목표치를 제시했다.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를 늘리고 기관별 특성에 맞게 중소기업 협력방안을 수치로 제시하도록 했으며, 국민이 체감하는 가시적인 성과에 대한 목표도 제시하도록 했다.

실질적 융합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연구회는 그간 각 기관의 틀에 갇혀 단순 협동에 머물렀던 융합연구의 체계를 전면 개편키로 했다. 각 출연연별 임무를 중심으로 기관 간 협력분야를 도출해 해당분야 연구자들로 구성된 협의체 ‘융합 클러스터’가 연구개발(R&D) 로드맵 구축에서 과제발굴까지 관련 분야 가상연구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유망 기술분야 및 발전 가능한 연구과제는 선별하여 ‘융합연구단’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며, 올해 안에 5개 내외의 융합 클러스터를 선정·운영할 계획이다. 융합연구단은 융합연구과제에 따라 출연연 우수인력이 결집해 연구를 수행하며, 과제수행 종료 후 원 소속기관으로 복귀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연구회는 융합연구단을 100억원 규모로 전폭 지원해 연구단이 실질적 융합의 선두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참여 연구자는 복귀 후 주요사업 참여 우선 혜택 부여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올해 2~4개 연구단 출범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20개 내외로 수를 늘려 출연연의 융합연구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어낼 계획이다.


또 연구회는 산하에 ‘출연연 융합연구위원회’를 두고 융합연구를 총괄·조정한다. 융합 클러스터와 융합연구단 간의 지속적 소통을 통해 융합연구를 활성화하는 환경과 문화를 조성해 나간다는 목표다.


미래부는 “올해 6월30일 연구회 통합, 4월23일 발표한 중소·중견기업 R&D 전진기지 방안 마련에 이어 지난해 7월 국무회의에 보고된 ‘출연연의 개방형 협력 생태계 조성방안’ 핵심과제의 주요골격이 완성됐다”면서 “지난 1970년대~1990년대 선진기술의 국산화로 국가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한 출연연이 시대적 요구변화에 부응해 한 단계 더 높이 도약할 신호탄”이라고 설명했다.


또 미래부는 “연구현장에서는 지난해부터 이루어진 출연연 변화 물결이 새로 출범한 국가과학기술연구회를 중심으로 확산돼 국민에게 사랑받는 연구기관으로 거듭나길 기대하는 분위기”라면서 “미래부와 연구회는 이러한 변화 노력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영식 기자 gra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