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대기업 신용위험 평가 발표
전년 대비 6곳 줄어…'불황' 건설사 21개로 가장 많아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대기업 34곳이 올 하반기 구조조정 대상기업으로 분류됐다. 지난해에 견줘 소폭 줄었으나 오랜 기간 불황인 건설사는 1곳이 더 늘어났다.
금융감독원은 20일 이런 내용을 담은 대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신용위험평가는 매년 주채권은행들이 거래 기업들을 대상으로 부실 위험 정도를 따져 A부터 D등급 등 4등급으로 분류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 중 C등급과 D등급을 받은 기업은 구조조정 대상이 되며 각각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과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밟게 된다.
금융권에 돈을 빌린 규모가 500억원을 넘는 대기업 중 경기민감업종 등 세부평가대상업체는 올해 601곳으로 주채권은행은 이들 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한 결과 34개사를 구조조정 대상 기업으로 선정했다. 전년(40곳) 대비 6곳 줄었고 C등급은 11개 기업, D등급은 23개 기업이었다.
업종별로는 오랫동안 업황 부진에 빠져있는 건설사가 21곳으로 가장 많았다. C등급은 4곳이었지만 D등급이 17곳에 달했다. 조선·해운사는 3곳(C등급 1곳·D등급 2곳)으로 뒤를 이었다. 철강업종은 1곳(C등급)이 구조조정 대상에 선정됐으며 나머지 9곳은 이들 업종에 포함되지 않은 일반 대기업이었다. 이들 기업에 제공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3조5000억원이다.
C등급을 받은 기업은 앞으로 채권단과 워크아웃 약정을 맺는 등 재무구조개선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민병진 기업금융개선국장은 "조기에 경영정상화될 수 있도록 채권은행이 책임을 지고 적극적으로 금융을 지원해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D등급 기업은 채권단의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방법을 통해 정상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금융기관의 여신 공급이 중단되는 셈이어서 사실상 퇴출 수순을 밟게 된다는 시각도 있다.
금감원은 경영정상화계획이 지체되지 않도록 채권금융기관 간 이해관계를 적극적으로 중재할 방침이다. 워크아웃에 들어가는 기업에 대해서는 보증기관의 보증기피, 수주 경쟁력 약화 등 부정적인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빠른 시일 내에 기업 정상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민 국장은 "채권금융기관은 단기 자금회수 목적보다는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경영정상화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채권은행은 자산부채 실사와 경영정상화계획 수립에 기업측 의견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정상평가를 받은 기업이 신용위험평가 직후 회생절차를 신청하거나 합리적인 이유 없이 워크아웃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검사를 통해 워크아웃 기업에 대한 사후관리의 적정성 등을 철저히 점검할 예정이다.
아울러 워크아웃에 들어간 기업의 협력업체 등에 미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채권은행을 중심으로 원활할 금융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도하기로 했다. 정상화계획이 수립되기 전까지는 협력업체에 대한 B2B상환 유예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