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장에서]세종시, 자족도시 되려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이용객, 개통 1년 만에 150만명 달성. 간단한 통계자료가 눈길을 끈다.


세종시 주민의 발 노릇을 톡톡히 하는 BRT는 세종시의 변화된 위상을 잘 보여준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세종시를 꾸미는 말은 '공무원 잔혹사', '허허벌판' 등이었다. 정부 청사 주변엔 타워크레인 수십 대가 날마다 돌아가고 도로는 화물트럭으로 아수라장이었다. 변변한 생활편의시설도 없었다. 청사에서 가까운 주거지역인 첫마을, 6500여가구가 이용할 수 있는 소아과가 단 한 곳뿐이었을 정도다.

첫마을에 입주하지 못한 공무원들은 인근 오송, 대전을 오갔다. 이마저도 여의치 않으면 하루 왕복 4시간을 훌쩍 넘는 수도권 출·퇴근 전쟁을 벌였다.


2011년 말 첫마을 입주가 시작됐으니 세종시에 공무원들이 내려간 지도 벌써 3년이 다 돼간다. 세종시 이전 첫 해, 6개 부처(13개 기관) 5000여명을 시작으로 현재 31개 기관 1만여명의 공무원이 세종청사에서 근무 중이다. 오는 12월 6개 기관 2268명이 이전하는 3단계 이전이 완료되면 37개 기관 1만3000여명이 모이게 된다. '행정 수도' 세종시로 변신하는 것이다.


그러는 사이 세종시는 어느덧 도시의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인구도 2011년 8만4710명(옛 연기군)에서 6월 말 기준 13만3361명으로 4년새 57.4% 늘었다.


하지만 날마다 벌어지는 출·퇴근 전쟁은 현재진행형이다. '기러기 가족'이 되기 싫다며, 세종시의 정주여건이 충분하지 않다며 세종시에 정착하지 않은 공무원들이 여전히 많다. 초기에 비해 많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도시 인프라와 주거, 교통, 교육 환경 등은 수도권에 한참 못 미친다. 청와대·국회 일정을 소화하느라 고위 공무원들이 반나절을 세종시를 떠나있는 행정 비효율도 아직 풀리지 않았다. 1단계 이전 공무원들이 토로하던 문제가 아직까지 그대로인 셈이다. 2030년 인구 80만명의 '자족도시'라는 청사진을 실현시키기 위한 고민이 시급하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