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강산 투자 기업인, 6년간 피해 1조원 주장...관광 재개 회담 촉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 금강산기업인협의회(금기협)가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6년간 1조원의 피해를 입었다며 남북 당국에 금강산 관광 재개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회담을 촉구했다.


금기협은 금강산 관광 중단 6주년에 즈음해 10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금강산 관광은 남북 평화의 상징이고 남북 경협 교류 시작이었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금기협은 금강산에 투자한 현대아산 협력 업체들의 모임으로 이들은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시설 투자금 3000억원, 매출 손실액 5300억원 등 1조원에 가까운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금강산 관광은 2008년 7월 11일 발생한 우리 관광객 피격 사건 이후 중단됐다.

정부는 남북교류를 금지한 5·24조치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금강산관광 기업과 북한 내륙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200억원 한도,연리 2%의 특별저리대출을 시행하고 있다.


금기협 소속 49개사가 심사를 받았지만 5일 현재까지 대출액은 50여억원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2010년 1차,2차 대출규모는 총 114억원이었다.


이 단체는 "눈가림식 지원책보다 이제는 근본적 해결책을 세우는 것이 맞다"면서 "고통을 안고 살기엔 너무 많은 시간이 흘렀다"고 호소했다.


금기협은 "1차,2차,3차에 걸친 간헐적이고 임시방편의 지원으로는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기업의 피해에 미치지 못한다"면서 "투자기업의 가장들은 72개월 간 아무런 수익을 가정에 가져다 주지 못하는 참담함을 지고 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금기협은 "이번 대출지원에서 정부가 원하는 것은 지방세 완납,국세완납, 신용이상무 드을 선결조건으로 지원한다고 하니 72개월 동안 수익이 없는 투자기업과 개인에 합당한 대출조건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금기협은 또 남북 당국이 금강산 현지의 투자 시설물 조사를 위한 방북을 승인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피해를 받고 있는 금강산 투자기업과 가족, 1만여 명의 종사자들의 생계를 책임질 것을 요구했다.


금기협은 11일 국회 정론관에서 피해보상을 촉구할 예정이다.




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 jacklon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