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건비 150억 등 선박 건조 비용 절감 및 건조기간 단축…근골격계 질환 예방 기대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대우조선해양이 업계 최초로 선박과 해양플랜트에 들어가는 전선을 자동으로 설치하는 '전선 포설 로봇'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중앙연구원 산하 자동화연구그룹과 기계로봇연구그룹이 '개발한 포설 로봇'의 현장 적용을 지난달 중순 최종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로봇에 대한 40여건의 국내·외 특허 출원 등록을 마쳤으며, 사외 판매 또한 추진할 계획이다.
전선 포설 로봇은 그동안 수작업으로 하던 전선 설치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는 로봇을 말한다. 이 로봇은 압축공기의 압력을 이용하는 공압방식을 채택해 안전성을 높이고 날씨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로봇은 두 종류로, 굵은 전선을 설치하는 태선(외경 40mm이상 굵은 케이블)용 로봇과 그 이하 크기의 전선을 설치하는 세선용 로봇으로 나뉜다. 지난해 보급이 완료된 태선용 로봇의 경우 현재 각 프로젝트별로 적용되고 있다. 드릴십의 경우 전체 태선량 90㎞의 약 30%를 포설 로봇이 담당하게 될 예정이다. 세선용도 이달 중순부터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상선과 해양플랜트에 설치된 전선의 길이는 각각 약 200㎞, 약 800㎞에 달한다. 상선은 서울에서 강릉까지의 거리 길이의 전선이, 구조가 복잡한 해양플랜트의 경우에는 서울과 부산을 왕복할 수 있는 길이의 전선이 설치된다.
이같은 대규모 전선 포설을 곡선 구간에선 모두 수작업으로 해야 한다. 선체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진행되는 작업 특성상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자들이 근골격계 질환을 호소하는 일이 잦았다.
대우조선해양은 견인력이 뛰어난 전선 포설 로봇의 개발로 1m당 최대 15kg에 달하는 대형 케이블(외경 95mm급 고압선)도 쉽게 설치·해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좁은 공간에서도 수평·수직·곡선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크게 향상됐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적용 첫 해인 올해는 약 47억원, 2017년에는 150억원 상당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작업자들이 사용하는 근력량 또한 수작업 대비 70% 이상 감소해 작업효율이 높아지고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30년 넘게 전선 포설을 담당한 베테랑 작업자도 획기적인 기계라며 로봇개발을 반기고 있고, 오일메이저인 셰브론 또한 로봇의 안정적인 작업능력을 인정했다"며 "현장 적용을 적극적으로 늘릴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승미 기자 askm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