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보톡스 대체물질 개발 가능할까?

시계아이콘01분 2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국내연구팀, 신경전달물질 분석시스템 개발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통증과 미용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톡스. 부작용이 발생하면 근육마비는 물론 사망에 까지 이른다. 이런 보톡스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신경전달물질 분석시스템을 개발했다. 앞으로 보톡스 대체물이 발굴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연구팀이 인간 신경세포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인 시냅스소낭 막융합을 안정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신경전달 과정에 대한 이해는 물론 보톡스 같은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물질의 발굴을 위한 핵심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냅스소낭 막융합은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할 때 감정, 행동, 기억 등 두뇌활동을 매개하는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이 담긴 시냅스소낭(synaptic vesicle)이 신경세포막과 막융합을 통해 시냅스 간극으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과정을 말한다.

보톡스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보툴리늄 세균이 분비하는 신경독소이다. 시냅스소낭 막융합에 관여하는 스네어 단백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신경신호 전달을 억제하며 통증치료와 미용치료에 사용된다. 부작용으로 근육마비 또는 사망 위험 등이 지적되고 있다.


신경세포 간의 신호전달의 핵심은 신경세포 안에 존재하며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을 담고 있는 시냅스소낭이 신경세포의 막과 융합하는 과정이다. 신경전달물질 연구에서 시냅스소낭 막융합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신경세포의 생체막을 이용하는 것이 좋은데 비용이 많이 들고 분석이 어렵다. 현재 합성리포좀을 이용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실험결과의 해석은 쉬운데 합성물질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사람의 스네어(생체막융합을 유도해 세포 내 물질이동을 조절하는 단백질) 유전자를 가진 효모를 제작하고 인간 시냅스소낭 막융합을 모방한 효모 액포(사람 세포의 리소좀에 해당하는 효모의 세포 소기관으로 단백질, 지질 등 다양한 생체 고분자 물질의 분해 및 재활용이 일어난다) 사이의 막융합 반응을 시험관에서 구현했다.


이번 방식은 효모에서 매번 동일한 스네어 단백질을 가진 액포를 분리, 정제할 수 있어 기존 분석시스템의 재현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었다. 효모는 대량 배양에 유리하기 때문에 화합물 발굴 등 대규모 스크리닝 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앞으로 신경전달 과정을 조절하는 화합물 발굴, 개발, 검증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효모의 액포막융합 과정은 인간신경세포의 시냅스소낭 막융합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보톡스에 의해 반응이 억제됐다.


이번 연구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전영수 교수(교신저자)가 주도하고 고영준, 이미리암 연구원(공동 제1저자)이 진행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과 GIST 바이오광학영상센터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학술원회보(PNAS) 온라인판 5월12일자(논문명 : In vitro assay using engineered yeast vacuoles for neuronal SNARE-mediated membrane fusion)에 실렸다.


전영수 교수는 "개발된 분석시스템이 인간의 시냅스소낭 막융합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며 "이번 연구성과는 보톡스의 효능개선, 대체물 개발 등 다양한 연구활동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