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월호 침몰]그 많은 배·잠수부들 뭐하는 거야?…'늑장 구조' 의혹 논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9초

[진도 =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유제훈 기자]"왜 민간자원봉사 잠수사와 다이빙벨을 투입하지 않는 것이냐?". "정부 발표보다 실제 투입 장비ㆍ인력이 터무니없이 적다".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구조작업을 둘러 싸고 의혹이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24일 오후 실종자 가족들이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ㆍ김석교 해양경찰청장 등을 7시간 넘게 붙잡고 분통을 터뜨린 것도 이때문이었다. 그동안 제기된 구조 작업을 둘러 싼 의혹과 논란에 대해 살펴봤다.

◆ 민간잠수사 홀대ㆍ다이빙벨 사용 논란
이날 이주영 장관은 간담회를 통해 그동안 갈등을 빚어왔던 민간잠수사들의 구조작업 투입을 지시했다. 이로 인해 UDT동지회 등 10여명의 민간 잠수사들이 이르면 25일 오전부터 구조작업에 뛰어들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종인 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가 '20시간 이상 연속 수색이 가능하다'고 호언장담한 다이빙벨 투입도 이 자리에서 결정됐다. 이 대표의 다이빙벨은 인천을 출발해 25일 낮 12시쯤 사고해역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민간잠수사들은 군ㆍ경 구조 당국이 자신들의 주도권을 놓지 않기 위해 의도적으로 참여를 배제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또 세월호 선사 '청해진해운'측과 계약한 구조 업체 '언딘'사가 중간에서 자신들의 입지를 지키기 위해 민간잠수사들과 군ㆍ경 구조 당국 사이를 가로막는 바람에 민간자원봉사 잠수사 등 초기 많은 인력이 투입되지 못해 구조가 지지부진했다는 주장이다.

[세월호 침몰]그 많은 배·잠수부들 뭐하는 거야?…'늑장 구조' 의혹 논란 지난 22일 오후 세월호 구조 현장에 투입된 해군 해난구조대(SSU) 대원들이 보트를 타고 이동 중이다. 사진=공동취재단
AD



하지만 군ㆍ경 구조 당국은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하고 있다. 민간 잠수사들이 가지고 있는 다이빙 자격증은 대체로 레저ㆍ스포츠에 관계된 자격증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유속이 빠르고 수심이 깊은 사고 현장에서는 산업잠수사 자격증 등 구조ㆍ수색분야에서 보다 심화된 교육을 받은 이들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감압장비 등 복잡한 장비를 갖춰야만 하기 때문에 민간 잠수사들의 입수는 쉽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25일 실종자 가족들과 만난 김석균 해양경찰청장도 "복잡한 잠수장비를 갖추고도 물 속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잠수사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다'면서 "감압장비 등 전문적 장비를 갖추고 잠수 능력도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다이빙벨도 마찬가지다. 다빙벨을 이용하면 굳이 바다위를 오르내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효율화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사고가 발생한 맹골수도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유속이 빠른 해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설치된 다이빙벨이 흔들려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이 될 수 도 있다. 또 잠수부ㆍ바지선의 복잡한 선과 엉켜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도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실제로 이종인 대표 역시 23일 사고해역에 다이빙벨을 투하하려 했다가 바지선의 앵커(anchor)라인과 교차할 수 밖에 없어 설치를 포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세월호 침몰]그 많은 배·잠수부들 뭐하는 거야?…'늑장 구조' 의혹 논란 ▲세월호 구조작업 다이빙벨 투입 논란. (출처: 이상호기자 트위터)



◆ 그많은 배·잠수부들은 뭐하냐고?


24일 사고 해역을 방문했던 실종자 가족들은 실제 잠수 인원이 2명에 불과하다는 점에 경악했다. 오전 700여명의 잠수부를 동원하겠다는 구조 당국의 발표와 너무 달랐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일부 국민들과 가족들은 "구조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심지어 "시체가 선내에 가득한 데 정부가 눈치를 봐가며 밤에만 꺼내고 있다"는 유언비어까지 나오고 있다.


그러나 군ㆍ경 구조 당국을 비롯한 전문가들은 "현장 사정을 이해해야 알 수 있는 문제'라는 입장이다. 우선 현지 해역은 유속이 국내에서 두번째로 빨라 세월호로 진입하기 위해선 '가이드라인'이라고 불리는 줄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 가이드라인이 세월호엔 6개 밖에 설치돼 있지 않다. 잠수사들이 2인 1조로 활동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대 12명이 물 속에서 작업할 수 있는 상황이다. 가이드라인 없이 산소통을 이용해 작업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작업시간이 짧아지고, 유속이 빨라 위험한 상황이 연출될 가능성도 있다. 실제 사고 초기 자원봉사 잠수사 3명이 물살에 휩쓸렸다가 구조되는 아찔한 상황이 발생했다.


따라서 하루 4번가량 정조기에 1시간 안팎으로 주어지는 잠수 가능 시간에 투입될 수 있는 잠수부는 하루 최대 40~50명 정도에 불과하다. 선박ㆍ비행기 등도 마찬가지다. 현재 하루에 항공기 30여대, 선박 200여척이 투입되고 있지만, 이중 실제 구조ㆍ수색 작업에 투입할 수 있는 장비는 좁은 해역 특성상 일부일 뿐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