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C";$title="";$txt="";$size="550,366,0";$no="2014032013222672305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수원=이영규 기자]경기도가 자취를 감추다시피 한 '길거리 쓰레기통'을 오는 7월 도내 100여곳에 시범 설치키로 해 관심을 끌고 있다.
길거리 쓰레기통은 1990년 초까지만 해도 웬만한 길에는 한 두개쯤 있었다. 당시 길거리 쓰레기통의 주 고객은 '담배꽁초'였다. 하지만 집에 있던 쓰레기가 쏟아져 나오면서 길거리 쓰레기통은 각종 오물과 쓰레기로 넘쳐났다. 거리 미관을 해치는 주범이었음은 물론이다.
이에 정부는 1995년1월 쓰레기종량제를 도입했다. 쓰레기 배출량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다. 시민들 사이에 '쓰레기 배출=돈'이라는 생각이 확산됐고, 무단 배출에 가혹한 '징벌'(과태료)이 부과되면서 길거리 투기는 사그러들었다.
쓰레기 투기가 줄면서 거리에 설치된 쓰레기통도 하나 둘 모습을 감추기 시작했다. 쓰레기통을 관리하는 자치단체엔 그야말로 '호재'였다. 쓰레기통 관리에 들어가는 유지보수비를 아낄 수 있어서다. 이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경기도에는 일부 공원과 몇몇 시ㆍ군의 시범지역에서만 설치 운영되고 있다.
그렇다면 '케케묵은' 장롱속 결혼사진과도 같은 길거리 쓰레기통이 다시 거리로 나오는 이유는 뭘까.
바로 우리 생활의 변화다. 20여년 전만해도 길거리에 버려지는 쓰레기의 절반은 담배꽁초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커피숍과 편의점이 한집 건너 들어서면서 '테이크아웃'이 보편화되는 등 거리문화가 확 바뀌었다.
캔과 테이크아웃 커피잔, 비닐과 플라스틱 등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매일 쏟아지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보도와 화단 등에 그대로 버려지고, 방치된다.
"과거 담배꽁초는 부피가 작았지만, 지금 거리에 투기되는 쓰레기는 부피도 크고 재활용이 가능한 것들입니다. 또 중심상가나 인구밀집지역, 버스정류장 등을 찾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봐도 쓰레기통이 없어서 투기한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최근 부쩍 늘고 있습니다."
경기도 자원순환과 염호근 주무관은 경기도가 길거리 쓰레기통 시범설치를 결정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경기도는 길거리 쓰레기통을 쓰레기종량제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시민들의 편의를 고려해 도시 1~2개 지역, 100개소에 설치할 계획이다.
아직 설치 지역과 세부 장소는 결정하지 않았다. 쓰레기통 형태 역시 담배꽁초 등 일반쓰레기와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나눠 수거하는 '2분류'형을 검토 중이다. 일반쓰레기와 플라스틱, 캔 등으로 분류를 세분화하면 유지관리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경기도의 고민도 있다. 쓰레기통을 어느 정도 크기로 만들 것이냐는 것이다. 크기에 따라 관리비용이 달라져서다. 경기도는 시범사업 성과를 보고 길거리 쓰레기통 확대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반면 서울시는 최근 길거리 쓰레기통을 확대하는 추세다. 서울시는 종량제 시행 직전인 1994년 길거리 쓰레기통이 7600여개였다. 그러나 종량제 시행과 함께 점점 줄어 2000년에는 3300개까지 감소했다. 이후 쓰레기통이 없어 불편하다는 시민들의 민원이 제기되면서 2012년에는 4723개까지 늘어난 상태다.
서울시 관계자는 "집회 등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은 고정식이 아닌 이동식 쓰레기통을 설치하고, 필요한 지역에 길거리 쓰레기통을 확충하는 구청에는 고가평가 항목에 이를 넣어 평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길거리 쓰레기통 확대는 쓰레기 종량제 취지와 어긋나는 만큼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