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차 이산가족 상봉…南측 357명,北측 88명 만나 눈물바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금강산=이산가족상봉공동취재단,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북측 가족 88명과 남측 가족 357명이 만난 설 계기 2차 이산가족 상봉행사는 사연도 많았고 눈물도 많았다. 부모 자식이 만난 것은 한 가족에 불과했고 73가족이 형제자매를 만났다. 소식이 끊긴 부모 형제가 죽었다고 생각해 사망신고를 내고 제사를 지내온 사연들은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23일 오후 3시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에서 만난 상봉자들은 처음에는 다소 어색해했지만 잠시 뿐이었다.돌이 갓 지났을 때 아버지 남궁렬(87)씨와 헤어져 얼굴을 기억하지 못했다는 남궁봉자(61)씨는 "아버지가 전쟁통에 돌아가신 줄 알았다"면서 "어머니는 5년 전에 돌아가셔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에 남궁렬씨는 "꿈에라도 한번 만나봤으면 간절해"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북측 최고령자 김휘영(88)씨는 남에서 온 종규(80)씨 등 3명의 여동생에게 '고향의 봄' 노래가사가 적힌 가족사진을 보여주며 "항상 이 노래를 불렀다"며 울먹거렸다.


 6ㆍ25때 북한 의용군이 되면서 연락이 끊긴 31가족들도 가슴 아픈 사연을 쏟아냈다. 임금영(86)씨는 자기 대신 의용군에 간 동생 선영(83)씨의 손을 잡고 "죽은 줄 알고 제사를 지냈다"고 통곡했다. 모내기 하다 징집된 형 성하응(82)씨를 만난 하정씨는 "여태까지 살아줘서 고맙다"며 형의 얼굴을 어루만졌다. 북한군에 끌려간 약혼자를 따라간 언니 홍석순(80)씨를 만난 홍명자(65)씨는 "무당이 언니가 죽었다고 해 영혼결혼까지 시켰다"며 눈물을 흘렸다.

 미국에서 날아온 김경숙(81)씨는 6ㆍ25 당시 헤어진 오빠 전영의(84)씨를 만나 "엄마가 대문을 안 잠그고 살았다"고 전했다. 김씨는 남편을 따라 성을 바꿨다.


 상봉단은 이날 오후 5시쯤 단체상봉을 마치고 저녁 7시부터 9시5분까지 금강산면회소에서 남측이 주최한 환영만찬에 참석했다. 북측 단장 리충복 조선적십자회 중앙앙위원회 부위원장은 "우리는 북남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중대제안을 내놓았고 그 첫출발로 흩어진 가족 상봉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2차 상봉단은 24일에는 오전 9시 금강산호텔에서 개별 상봉을 한 뒤 낮 12시부터 단체로 식사를 했고, 오후 4시에는 이산가족면회소에서 단체 상봉을 한다. 개별 상봉은 가족 단위로 숙소에서 비공개로 이뤄졌다.


 금강산=이산가족상봉공동취재단, 박희준 외교ㆍ통일 선임기자 jacklondon@




금강산=이산가족상봉공동취재단,박희준 아시아경제 외교·통일 선임기자 jacklon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